
R&D 지원자를 위한 제뉴원사이언스 기업 분석
기업 개요 및 비전
| 구분 |
주요 내용 |
| 기업명 / 설립 |
제뉴원사이언스 (Genuone Sciences) / 2020년 11월 (한국콜마 제약사업부와 콜마파마 통합) |
| 사업 분야 |
합성의약품 위탁개발·생산 (CDMO) |
| 주요 현황 |
국내 제약사 약 80% 이상 파트너, 600여 종 이상의 제품 포트폴리오 보유 |
| 주요 거점 |
본사(서울 중구), 중앙연구소(화성), 생산시설(세종, 제천) |
| 목표 |
국내 대표 CDMO 기업을 넘어 글로벌 No.1 헬스케어 기업 |
| 연구 영역 확장 |
제네릭 의약품부터 유전자치료제까지 |
| 공식 홈페이지 |
https://genuonesciences.com |
제뉴원사이언스 핵심 가치 및 비전
제뉴원사이언스는 신뢰(Trust)를 가장 중요한 가치로 삼고 있습니다.
윤리 강령 및 슬로건
| 구분 |
내용 |
| 윤리 강령 |
“Building Trust through Integrity” |
| 슬로건 |
“We Promise to Be Your Trusted Partner for Healthier Tomorrows” |
신뢰를 위한 약속 내용
| 대상 |
약속 내용 |
| 내부 (직원) |
직원들 간의 존중과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 |
| 고객/시장 |
약품의 품질과 공정한 거래를 통해 신뢰 구축. |
| 사회 |
사회 구성원으로서 윤리적 시민으로 책임감 있게 행동. |
| 비전 |
최고의 제약 솔루션으로 효과와 안전성이 검증된 의약품을 제공하고, 고객과 파트너를 신뢰로 연결하여 글로벌 CDMO 기업으로 성장. |

제뉴원사이언스 R&D 지원자를 위한 연봉 및 복지 정보
연봉 정보 (OpenSalary 기준 추정)
| 구분 |
금액 |
비고 |
| 평균 예상 연봉 |
약 6,490만원 |
인크루트 공공데이터 및 국민연금 납부액 기반 |
| 최근 입사자 평균 월급 |
약 514만원 |
연봉 자료를 12개월로 환산 시 신입 연봉도 6,000만원대 수준으로 추정 가능 |
주요 복지 제도 (일과 삶의 균형 중시)
제뉴원사이언스는 구성원의 성장과 가족의 행복을 지원하는 복지 제도를 운영합니다.
| 구분 |
주요 내용 |
| 가족·출산 지원 |
가족수당 (배우자/자녀 월 2만원, 자녀 수 제한 없음).
학자금 지원 (유치원/고등학교/대학교 등록금 상당액).
출산 장려금 (첫째 50만원, 둘째 100만원, 셋째부터 1,000만원). |
| 휴가·근무환경 |
여름 유급휴가 2일, 생일반차 휴가, 창립기념일 휴무.
세종/제천사업장 기숙사 제공, 서울/연구소 직원 중식대(월 18만원) 또는 중식 제공, 통근버스. |
| 장기근속·포인트 |
5·10·20년 근속 시 축하금과 유급휴가 제공.
사내 동호회 활동 지원금, 복지카드 제공. |
| 건강·문화 |
임직원 종합건강검진, 휴게실/카페테리아, 동호회 활동 지원, 단체상해보험 가입. |
| 기타 |
자격증·학위 취득 지원, 창립기념일 선물. |
기업의 차별점 및 주요 동향
제뉴원사이언스의 차별화된 역량
| 분야 |
핵심 내용 |
| CDMO 토탈 솔루션 |
연구, 임상, 허가, 생산 전 과정을 아우르는 개발 역량 및 토탈 솔루션 제공. |
| R&D 전문성 |
중앙연구소/공정기술 연구소에 6개 팀 운영, 연구개발 인력의 89%가 석·박사 구성. |
| 독보적 기술력 |
고형/액상/반고상 등 다양한 제형 개발·생산. 국내 유일의 리드캡® (액상경질캡슐) 연구·생산 기술 보유. |
| 글로벌 파트너십 |
국내 제약사 80% 이상 파트너 보유,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한 국내외 학·연·정 협력. |
| 건강한 기업문화 |
다양성·기회균등 강조, 직원 성장/역량 강화 교육, 윤리성과 신뢰를 중시하는 조직문화. |
최근 기업의 관심사 및 동향
| 분야 |
주요 내용 |
| ESG 경영 |
2021년부터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직원 복지, 다양성, 안전보건 등 ESG 성과 공개. |
| R&D 및 생산 역량 강화 |
R&D 부문 및 생산 체계 고도화를 위한 신임 R&D 부문장/제천공장장 영입 등 인적 투자 강화. |
| 글로벌 시장 진출 |
600여 종 제품 포트폴리오와 유전자치료제(gene therapy) 등 차세대 기술 확보, 해외 공동연구/임상시험 진행. |
| ‘유연한 성장의 해’ 선언 (2025년) |
신속한 시장 대응과 차별화된 고객서비스를 통한 신성장 동력 확보 목표 (내부 혁신/구조 개선 및 글로벌 확장 동시 추진). |
핵심 R&D 프로젝트 및 키워드
진행 중인 핵심 R&D 프로젝트
| 프로젝트 구분 |
주요 내용 |
| 신제형 및 개량신약 개발 |
난용성 의약품의 나노입자/미세유화 제조 기술로 용해도/흡수율 개선. 기존 의약품의 새로운 적응증/투여 경로 변경을 통한 개량신약 개발. |
| 혁신적 약물전달기술 (DDS) |
NEO-DDS TECH 및 Convergence Tech 프로그램 운영. Controlled PK 기반 DDS, Multi-functional DDS 기술, IVIVC (In vitro/In vivo simulation system) 포함. |
| 리드캡® 기술 (Lidcap®) |
액상/반고상 내용액을 경질캡슐에 충전·밀봉하여 누액 방지, 빠른 약효 및 다양한 방출 패턴 구현이 가능한 자체 개발 기술. |
| 신규 의약품 파이프라인 |
아토피 치료제, 항생·항균제, 천연물/화합물 기반 의약품 등을 국내외 대학과 공동 연구. 바이오 의약품 연구 신규 투자. |
기업의 R&D 핵심 키워드
| 키워드 |
주요 내용 |
| CDMO |
위탁개발·생산 서비스 총칭 (제제 연구, 분석, 임상, 허가부터 생산까지 통합 서비스). |
| NEO-DDS Tech |
Controlled PK 기반 DDS, 개량신약 개발, 신제형 개발 기술을 포함하는 연구 프로그램. |
| Global & Open Innovation |
국내외 학·연·산 공동연구 및 개방형 Connect & Development 네트워킹 전략. |
| Convergence Tech |
Multi-functional DDS, IVIVC, 화장품 기술과 의약품 효능을 접목한 퓨전 기술 연구. |
| Lidcap® |
누액 방지 및 다양한 방출 패턴 구현이 가능한 액상경질캡슐 제형 기술. |
R&D 지원자를 위한 채용 정보
필요한 연구 분야 및 실험 스킬
R&D 채용은 주로 제제연구와 분석연구 분야에 집중됩니다.
| 분야 |
주요 요구 역량 및 기술 |
| 약물 제형 연구 |
완제의약품 조성물 설계, 제조공정 개발, 개량신약 개발 (QbD 적용), 제네릭/개량신약의 제제 연구 수행. |
| 약물전달 시스템 (DDS) 설계 |
Controlled PK 기반 DDS, Multi-functional DDS 개발, IVIVC 분석 능력. |
| 분석·인허가 준비 |
의약품 분석법 개발, 의약품동등성 시험, CTD 작성 및 의약품 인허가 업무 경험. |
| 오픈 이노베이션 및 융합 연구 |
학·연·산 협력 프로젝트 참여 경험, 복합소재/천연물 기반 의약품 개발, 화장품 기술 융합 연구 역량. |
| 핵심 실험기술 |
난용성 의약품 나노/미세유화 제조, 리드캡® 생산 공정, QbD 기반 설계, GMP/KGMP 기준 실험실 관리. |
R&D 채용공고의 특징
| 구분 |
주요 내용 |
| 모집 직무 |
제제연구, 분석연구 외 의약품 생산, 품질(QC/QA), 개발(RA), 영업(B2B) 등. |
| 인재상/우대 |
대학원 석·박사 졸업자 또는 관련 전공자 선호. 전공 연구성과나 실험 경험 구체적 기재 필요. GMP·QbD 경험, 영어 논문 작성 능력 우대. |
| 제출 서류 |
자사 양식의 온라인 입사지원서 제출. |
| 역량 평가 |
서류 통과 후 AI 역량검사 진행, 면접에서 전공 지식, 프로젝트 경험, 문제 해결 능력, 윤리의식 등 종합 평가. |
채용 절차 및 시기
| 단계 |
상세 내용 |
| 채용 프로세스 |
서류전형 → AI 역량검사 → 1차 직무면접 (연구실무 중심) → 2차 임원면접 (태도, 조직 적합성) → 채용검진 및 입사. |
| 주요 채용 시기 |
연구개발 및 생산 직무는 수시 채용 진행. 신입·경력 공채는 상반기와 하반기에 집중될 수 있음 (예: 9월 말 마감 하반기 공채). |
결론: R&D 지원 전략
제뉴원사이언스는 국내 대표 CDMO 기업으로, 신뢰와 윤리를 바탕으로 경쟁력 있는 연봉 및 통 큰 복지를 제공하며 연구 인력을 유치하고 있습니다.
- R&D 기회: 신제형 개발, 혁신적 약물전달 기술, 오픈 이노베이션 등 활발한 프로젝트 참여 기회.
- 지원 준비: 자신의 연구 경험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회사의 비전(신뢰, 윤리)에 공감하는 모습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 특히 AI 역량검사와 면접에서 직무 적합성과 윤리의식을 중점적으로 평가받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