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제약 R&D 기업 분석
기업 소개 및 개요
| 기업 기본 정보 |
| 설립 연도 |
1968년 |
| 사업 영역 |
토털 헬스케어 그룹: 일반의약품, 전문의약품, 원료의약품, 헬스케어,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
| 주요 브랜드 |
국민 브랜드: 인사돌, 마데카솔, 센시아 등 |
| 임직원 수 (2025년 기준) |
약 1,132명 |
| 본사 위치 |
서울 강남구 청담빌딩 |
| 주요 역량 |
연구·개발부터 생산·판매까지 전 과정 통합 역량 |
|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dkpharm.co.kr |
기업의 키워드 (핵심 가치 및 비전)
| 구분 |
키워드 |
주요 내용 및 의미 |
| 미션 (Mission) |
토탈 헬스케어 그룹 |
“정성 어린 마음으로 건강한 가치를 전달하여 고객의 삶과 사회에 기여하는 대한민국 토탈 헬스케어 그룹” (진심을 담아 건강한 가치 제공) |
| 비전 (Vision) |
Value Creation 20 |
고수익 구조로의 전환을 통해 지속 가능성 강화 |
| 핵심경영이념 |
OUR PASSION YOUR HEALTH |
변치 않는 열정으로 고객의 건강과 행복을 만듦 |
| 핵심가치 (Value) |
창조·소통·정성 |
- 창조 (Creation): 환경 변화 선제적 대응 및 새로운 솔루션 제공
- 소통 (Communication): 소비자 및 이해관계자와 소통하여 니즈 파악
- 정성 (Care): 정직하고 진정성 있는 사회공헌 및 정도경영 실천
|
| 인재상 |
긍정적 사고로 도전하는 인재 |
- 목적의식: 구체적 목표를 세워 끈기 있게 도전
- 긍정적 사고: 포기하지 않고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
- 비전 창출: 변화와 미래를 향해 도전
|

초봉, 평균 연봉 및 주요 복지
| 보상 및 근무 환경 |
| 평균 연봉 |
약 5,293 만원 (월급 약 441 만원 수준, 공공데이터 기반) |
| 신입 초봉 (추정) |
약 4,183만 원 (캐치 자료 기준, 직무 및 경력에 따라 차이) |
| 경력직 연봉 (추정) |
직무에 따라 5,500만 원 이상 추정 |
| 보상 구조 |
기본급 + 연간 보너스 600% (기본급 6개월분) + 성과급 |
| 근무 시간 |
09:00 ~ 18:00, 주 5일 근무 |
주요 복지 제도
- 경조사 지원: 경조휴가 및 경조금 지원, 사내 근로복지기금 운영
- 생활 지원: 자녀 학자금 지원, 단체 상해보험 및 개인연금보험 가입 지원
- 자기계발/휴식: 사내 동아리 활동 지원, 우수사원 표창·해외연수, 휴양시설(콘도) 지원
- 인사 제도: 인간존중 기반의 공정한 승진 인사제도, 직원 주인의식 강조
기업의 차별점
| 구분 |
차별화 요소 |
| 사업 포트폴리오 |
토털 헬스케어 포트폴리오: 일반/전문의약품(대표 브랜드 보유), 원료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업 확장 (다양한 소비재 경험 보유) |
| R&D 전략 |
사람중심 R&D 전략: 의료 미충족 수요 해결, 삶의 질 향상, 고령화 대비 제품 개발에 중점 |
| 연구 방법 |
플랫폼 기술과 기존 기술 병행: 기존 기술 발전과 함께 신규 플랫폼 기술 개발 및 오픈 이노베이션 강조 |
| 경영 이념 |
가치 지향의 경영이념: 핵심 경영이념(“Our Passion Your Health”) 아래, 창조·소통·정성에 기반한 윤리경영 및 사회공헌 실천 |
최근 기업의 주요 관심사
- R&D 확장: 개량신약/제네릭 중심 포트폴리오에서 미충족 의료수요 해결을 위한 파이프라인 확장
- R&D 전환: 기술 중심/고객 중심 프로젝트로 전환, 오픈 이노베이션 및 글로벌 트렌드 맞춤 연구 추진
- 협력 강화: 신규 플랫폼 기술 개발 및 외부 파트너와의 협력 강화
- 브랜드 경쟁력: 일반의약품 및 헬스케어 사업 브랜드 경쟁력 강화로 매출 1조원 달성 목표
- 첨단 기술: 디지털·AI 기반 연구 협력 확대 (AI 기반 첨단의약품 공동연구 협약 체결 등)
진행 중인 핵심 R&D 프로젝트 (파이프라인)
R&D는 주로 개량신약, 제네릭 의약품, 의료기기 및 바이오 소재 개발에 집중됩니다.
| 파이프라인 (코드) |
적응증 / 분야 |
개발 단계 |
| DKF-313 |
전립선비대증 치료용 복합 개량신약 (두타스테리드+타다라필) |
임상시험/허가 단계 (임상 3상 성공 후 허가 단계) |
| DKM-420 / DKM-412 |
슬관절염 (무릎 골관절염) |
초기 연구 또는 비임상 단계 |
| DKB-123 |
상처치료 및 조직수복용 바이오 소재 |
비임상/임상 단계 |
| DKF-447 |
당뇨 치료 |
비임상/임상 초기 단계 |
| DKF-424 |
위식도역류질환 (GERD) |
비임상/임상 초기 단계 |
| DKF-MA101, MA102 |
전립선암·유방암 등 항암제 |
비임상/임상 준비 단계 |
| DKF-460 |
이상지질혈증 |
비임상 단계 |
| DKF-462 |
알츠하이머병 치료 |
비임상 단계 |
| DKF-MB501 |
비만치료제 |
비임상 단계 |
| DKF-MB601 |
B형 간염 치료제 |
비임상 단계 |
| 기타 |
항혈전(DKF-427), 골다공증(DKF-335), 진균 감염(DKF-5122), 면역억제제(DKF-MB101), 말단비대증(DKF-MA201/MB201) |
주로 비임상 단계 |
※ 장기적으로 의료기기, 바이오 소재, 상처치료제용 하이드로겔 및 코스메슈티컬 제품 등이 연구 중입니다.
기업의 R&D 키워드 (연구 분야별)
| 분야 |
개량신약/제네릭, 근골격계 질환 (슬관절염, 골다공증), 내분비·대사 (당뇨, 비만, 이상지질혈증, B형 간염), 중추신경계 (알츠하이머병), 상처치료·조직재생, 항암·면역질환 (항암제, 면역억제), 소화기질환, 감염성 질환 |
필요한 연구 분야 및 실험 스킬
파이프라인 및 R&D 전략을 고려할 때, 다음과 같은 연구 분야 및 기술이 중요합니다.
| 분야 |
필요 스킬 및 기술 |
| 약물 합성 및 제형 개발 |
유효성분 합성, 약물 용해도 개선, 제제 개발 (DDS) 능력 |
| 약물동태 및 비임상 평가 |
동물모델에서의 약동학/약력학 시험, 질환 모델 (슬관절염, 당뇨 등) 효능 평가 |
| 세포·분자생물학 |
in vitro 시험 (세포 증식, 염증/면역 반응, 암세포 사멸 등), 면역억제제/항암제 연구 |
| 바이오소재 및 조직공학 |
고분자 합성, 물성 평가, 세포 적합성 시험 (하이드로겔·조직재생 소재 개발) |
| 분석 및 품질관리 |
HPLC, LC-MS 등 분석기기 운용, 안정성 시험, 공정 중 분석법 개발 |
| 데이터 분석 및 AI 활용 |
빅데이터 분석, AI 기반 신약 설계/약물도출 플랫폼 활용 능력 (우대) |
| 규제 및 GMP 문서화 |
개량신약 허가 자료 작성, GMP 규정 준수 문서화 경험 |
기업의 R&D 채용 특징 및 절차
채용 공고의 특징
- 직무 및 전공: 합성·제제·분석·바이오·품질 등 세부 분야, 약학·화학·생명공학 관련 전공자 대상
- 요구 역량: 석사 이상 또는 연구 경력자 우대, 채용 지원자 평균 학점 3.6점, 토익 791점 수준
- 인재상 반영: 긍정적 사고, 도전 정신, 명확한 목표 의식 강조, AI 면접을 통해 잠재력 및 적합성 파악
- 과제 성격: 사람중심·시장중심 R&D 전략에 맞춘 개량신약, 바이오소재, 임상/비임상 연구 등 수행
주요 채용 시기
- 채용 형태: 상반기 및 하반기 수시채용 형태
- 신입 공채 집중 시기: 주로 1분기 (3~5월) 및 4분기 (9~11월)에 집중
- 연구개발 인력: 프로젝트 수요에 따라 수시 채용이 많음
채용 절차 (일반적 순서)
| 단계 |
주요 내용 |
| 1. 서류 전형 |
학력, 전공, 경력 등을 중심으로 심사 |
| 2. AI 화상 면접 |
자기소개 및 가치관 확인 (온라인 AI 평가) |
| 3. 실무진 면접 |
연구 주제, 직무 적합성 평가 (기술 면접, 프로젝트 경험 및 문제 해결 능력 중심) |
| 4. 임원 면접 |
가치관 및 회사 적합성 확인, 회사/직무에 대한 지원 동기 심층 질문 |
| 5. 최종 합격 및 처우 협의 |
연봉, 입사일 협의 및 신체검사 후 입사 확정 |
출처: 동국제약 공식 홈페이지 (기업이념, R&D 전략, 인사/복리후생, 파이프라인), 자소설닷컴 기업정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