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직무 지원자가 세 회사의 규모, 사업 모델, 문화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핵심 정보를 정리했습니다.
| 구분 | 삼성바이오로직스 | 셀트리온 | 롯데바이오로직스 |
| 회사 성격 | 세계 최대 규모의 CDMO (위탁 개발/생산) | 바이오시밀러 및 오리지널 의약품 개발/제조 | 신생 CDMO (2022년 출범) |
| 주요 사업/제품 | 위탁 개발·생산 서비스 (항체, ADC, mRNA 등) | 램시마, 트룩시마, 허쥬마, 유플라이마 등 바이오시밀러 및 자체 신약 | 바이오의약품 원료의약품 및 결합(ADC) 생산, 품질 시험 |
| 핵심 특징 | 자체 의약품 개발보다 위탁 생산에 집중하여 순수 CDMO로 전환 중. 글로벌 대형 제약사와의 계약을 주도. | 생산·R&D·임상·허가까지 수직통합 구조. 바이오시밀러 매출이 주력이며, 자체 제품 개발 확대. | **글로벌 제약사 공장 인수(BMS 시러큐스)**로 시작. ADC 설비 등 신기술 투자를 통한 확장 중심. |
| 회사 | 현재 생산능력 (2025년 기준) | 향후 확대 계획 |
| 삼성바이오로직스 | 총 78만 4천 L (플랜트 1~5, 송도) 👉 세계 최대 규모 | 2027년까지 플랜트 6 (180 kL) 추가 건설, 총 96만 4천 L 확보. ADC·mRNA 시설 투자 확대. |
| 셀트리온 | 총 25만 L (1, 2, 3 공장, 송도) | 2026년까지 완제의약품 생산공장 추가. 2025년부터 200 kL 규모의 CDMO 플랜트 건설 시작 (자회사 설립). |
| 롯데바이오로직스 | 4만 L (미국 시러큐스 캠퍼스) | 2027년까지 송도 Bio Campus 플랜트 1 (120 kL) 완공 예정, 총 16만 L 확보 목표. 2030년까지 36만 L 이상으로 확대 계획. |
| 회사 | 재무 성과 (2025년 2~3분기 기준) | 주요 파이프라인/시장 위치 |
| 삼성바이오로직스 | 2025년 3분기 매출 1조 6,602억 원, 영업이익 7,288억 원 (분기 사상 최고). | 글로벌 20대 제약사 중 17곳과 계약 체결. 누적 주문액 200억 달러 이상. CDMO 분야의 압도적 시장 리더. |
| 셀트리온 | 2025년 3분기 매출 1조 262억 원, 영업이익 3,010억 원 (분기 사상 최대 영업이익률 29.3%). | 램시마SC 등 고마진 제품 비중 증가. 2025년 매출 5조 원 목표. 바이오시밀러 분야의 선두 주자. 미국 플랜트 인수 등 글로벌 공급망 강화. |
| 롯데바이오로직스 | 설립 초기 단계로 매출 규모는 작으나, 2025년 위탁생산 계약 3건 체결. ADC 시설에 1억 달러 이상 투자 중. | ADC 분야에 적극 투자하여 2025년 매출 창출 계획. 2030년까지 글로벌 CDMO 상위권 진입 목표. |
| 회사 | 주력 제품/서비스 | 연구개발 및 파이프라인 특징 |
| 삼성바이오로직스 | 고객사 위탁 의약품 제조 서비스 | 자체 의약품 파이프라인 없음. CDMO 서비스의 품질과 효율성(ExellenS™) 강화에 집중. ADC, mRNA 등 차세대 모달리티 생산 능력 확보. |
| 셀트리온 | 바이오시밀러(Remsima, Truxima 등), 자체 신약(Zymfentra) | 자체 R&D를 통해 다양한 바이오 플랫폼 개발 (항체, ADC, 펩타이드 등). 2030년까지 18개 바이오시밀러 출시 계획. 2028년 이후 CDMO 부문 매출 기대. |
| 롯데바이오로직스 | 위탁생산 서비스 (항체, ADC, mRNA) | 시러큐스 공장에서 ADC 결합 및 원료생산 원스톱 서비스 제공. 송도 캠퍼스는 대형 상업 생산과 소규모 임상 생산을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설비 추진. |
| 회사 | 주요 채용 직무 및 역량 | 조직 문화 및 특징 |
| 삼성바이오로직스 | 연구, 생산 (DSP/DP), 품질, 데이터 분석 등. GMP 이해,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공정 최적화 역량 중요. | 개방적 대화와 원팀 마인드 강조.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과 안정적인 업무 환경. 규모가 커 의사결정 과정이 복잡할 수 있음. |
| 셀트리온 | R&D, 임상, 규제, 생산 (DS/DP), 엔지니어링 등 전주기 직무. 과학적 역량, 규제 이해, R&D/임상 경험 필요. CDMO 진출로 대규모 전문 인력 채용 계획. | 높은 성장 속도와 역동적인 분위기. 자체 파이프라인 개발에 따른 도전적인 연구 환경. 업무 강도는 높은 편. |
| 롯데바이오로직스 | 공정 개발, 기술이전, 생산·품질관리, ADC 특화 직무 등 CDMO 중심. 다기능적 역할 수행 능력, 신기술 지식, 영어 커뮤니케이션 능력 필요. | 스타트업형 문화. 롯데그룹의 안정성과 글로벌 경험을 접목. 개인의 역할 영향력이 크며, 조직 구축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성장 잠재력이 높음. |
| 관심 분야 | 추천 기업 | 커리어 강점 |
| CDMO (대규모 생산, 시스템) | 삼성바이오로직스 | 확립된 글로벌 1위 CDMO의 안정적 시스템, 세계 최대 규모 설비 경험, 체계적인 교육. |
| CDMO (성장, 조직 구축, ADC) | 롯데바이오로직스 | 신생 조직의 성장 잠재력을 함께 경험, ADC 등 신기술 특화 경험, 개인 역할 영향력 극대화. |
| 바이오시밀러/신약 R&D | 셀트리온 | R&D부터 임상, 허가까지 수직통합된 전 과정 참여, 다양한 바이오시밀러 및 신약 파이프라인 경험. |
SK바이오사이언스 R&D 기업 분석 기업 개요 및 차별점 기업 개요 구분 주요 내용…
일양약품 R&D 채용 대비 기업 분석 회사 개요 및 비전 구분 내용 설립…
R&D 연구원을 위한 한독 (Handok) 기업 분석 1. 회사 개요 및 비전 구분 내용…
셀트리온제약 R&D 기업 분석: 연구원 취업을 위한 최신 정보 기업 개요 및 비전 구분…
대원제약 기업 분석 – R&D 연구원 채용 종합 가이드 1. 🏛️ 기업 개요…
R&D 지원자를 위한 제뉴원사이언스 기업 분석 기업 개요 및 비전 구분 주요 내용 기업명…
This website uses cook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