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R&D 기업 분석] GC녹십자 |바이오 연구 직무|합격 전략

GC녹십자(GC Biopharma) R&D 분석: 과학 중심 혁신과 채용 포인트

GC녹십자 R&D 직무 합격 전략! 혈액제제·백신을 넘어 mRNA/LNP, 희귀질환 신약 개발에 집중하는 과학 중심 혁신 분석. R&D 채용 시기와 필요 역량을 완벽 정리했습니다.


 

기업 개요 및 R&D 철학

구분 내용
기업명 GC녹십자 (GC Biopharma)
공식 홈페이지 GC녹십자 로고 홈페이지https://www.gcbiopharma.com
설립 1967년 ‘녹십자’로 설립
주요 사업 분야 혈액제제백신 중심의 한국 대표 바이오 제약사
R&D 철학 과학 중심 혁신 (Science-driven Innovation) 및 지속 가능한 성장
핵심 가치 인류 건강 증진, 혁신, 신뢰, 품질 중심
비전 ‘인류의 건강한 삶에 기여하는 글로벌 헬스케어 리더’
R&D 집중 분야 희귀질환, 면역·염증 질환, 항암, 감염병 등 차세대 치료제 연구
대표 제품 헌터라제(ICV) (희귀질환 치료제), 다양한 백신

 

기업의 차별점 및 R&D 플랫폼

구분 내용
차별점 국내 유일의 혈액제제 생산 전주기 시스템 (혈장 → 완제) 보유
희귀질환 치료제 헌터라제(ICV) 등 글로벌 진출형 신약 포트폴리오 보유
자체 백신 플랫폼(바리셀라, 인플루엔자, 코로나 mRNA) 및 mRNA/LNP 연구센터 설립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강화: 해외 연구기관 및 바이오텍과 공동개발
주요 R&D 플랫폼 혈장단백질 제조 기술
재조합 단백질 제조 기술
백신 제조 기술
mRNA/LNP 플랫폼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 추진)

GC녹십자 사옥 전경

연봉 및 복지 혜택 (2025년 기준)

구분 내용
초봉 대졸 신입 약 4,200만 원 수준
평균 연봉 6,700만 원
주요 복지 주 5일 근무, 연차 및 보상휴가, 연구원 교육비 지원, 자녀 학자금, 복지포인트, 사내 어린이집, 건강검진 및 의료비 지원 등

 

핵심 R&D 프로젝트 및 관심사

구분 내용
진행 중인 핵심 프로젝트 코로나19 mRNA 백신 (Phase 1, 2025)
바리셀라 백신 Barycela (Phase 3, 2025, 태국 임상 3상 IND 승인)
면역글로불린(IVIG) 점도·안정성 개선 프로젝트 (IgNS 2025 발표)
희귀질환 치료제 헌터라제 정맥 내 직접투여(ICV) 임상 확대
최근 주요 관심사 mRNA 백신 플랫폼 고도화
AI 기반 의약품 생산 효율화 및 데이터 표준화 프로젝트 추진
친환경·ESG 경영 강화 (탄소 감축, 친환경 공정 전환)
R&D 키워드 혈액제제 $\vert$ 백신 $\vert$ 희귀질환 $\vert$ 면역·염증질환 $\vert$ 항체·유전자치료 $\vert$ mRNA/LNP $\vert$ AI 제조혁신 $\vert$ ESG 바이오 프로세스

 

필요한 연구 분야 및 스킬

구분 내용
주요 전공 생명공학, 약학, 화학, 분자생물학, 면역학 등
필요 스킬 (실험/분석) 세포배양, 단백질 정제·분석, RT-qPCR, ELISA, 동물모델, LNP 제형화, in-vivo 독성시험
분석 도구 활용 HPLC, LC-MS, Flow cytometry, MATLAB, Python 기반 데이터분석

 

R&D 채용 특징 및 절차

구분 내용
연구 분야 mRNA, LNP, 면역·백신 연구, 희귀질환 신약개발 중심
자격 요건 석사 이상 (필수), 관련 연구 경력자 우대, 영어 논문·특허 활용 능력 요구
채용 특징 글로벌 협업 연구팀 운영, 연구결과 학회 발표 및 논문화 장려
채용 절차 서류전형: 자기소개서, 연구경험·논문 중심 평가
인적성 검사: 직무적합성 및 문제해결능력 중심
실무면접: R&D 프로젝트 수행능력 및 논리적 사고 평가
임원면접: 조직 적합성 및 연구비전 공유
주요 채용 시기 정기 공개채용: 매년 3~4월 (상반기), 9~10월 (하반기)
R&D 수시채용: mRNA, 희귀질환 연구직 중심으로 연중 진행
인턴십 프로그램: 채용연계형 인턴 (6~7월) 운영, 우수자 정규직 전환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