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R&D 기업 분석] 차바이오그룹 |바이오 연구 직무|합격 전략

차바이오그룹 R&D 직무 합격 전략! 산학연병 BIO Eco System, 줄기세포/CGT/mRNA 핵심 파이프라인, 그리고 AI 헬스케어 최신 동향까지. 필요 연구 역량과 채용 정보를 완벽 분석했습니다.


기업 개요

구분 내용
기업명 차바이오그룹 (CHA Bio Group) – 지주회사 격인 차바이오텍(주) 및 차병원재단 포함
설립 1960년대 난임 전문 병원에서 출발, 2000년대부터 바이오 기업으로 확대
본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335 차바이오컴플렉스
핵심 사업 헬스케어, 줄기세포 연구, 바이오의약품 개발, CDMO
규모 (2025년 기준 IR 자료) 연간 환자 방문 300만 명 이상, 2,600개 병상, 의사 1,800명 이상, 50개 기업, 임직원 14,000명 이상
비전 선도적 통합 헬스케어 그룹, BT(Bio Technology)로 인류 건강 증진 및 바이오 입국 실현
공식 웹사이트 차바이오그룹의 로고 차바이오텍http://www.chamc.co.kr/main.aspx

https://news.chabio.com (차바이오그룹 뉴스룸)


차바이오컴플렉스

기업의 핵심 키워드 및 정체성

키워드 설명
BIO Eco System (산학연병) 대학·연구소·병원·기업이 연계된 생태계 구축. 기초연구, 후보물질 발굴, 임상, 상업화 전 과정을 내부에서 순환하는 구조 강조.
첨단 바이오의약품 개발 Cell & Gene 기술과 독자 플랫폼 기반 NK세포치료제, 줄기세포치료제, 백신, 표적항암제 등 난치병 치료제 개발.
K-의료 수출 미국, 일본, 싱가포르, 호주 등 7개국 96개 거점에서 의료서비스 및 재생의학 연구를 수행하며 K-의료 수출 선도.
3세대 CDMO 도전 한국, 미국, 일본에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개발·생산(CGT CDMO)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사업 본격화.

 

기업의 차별점

구분 내용
산학연병 통합 생태계 대학, 병원, 연구소, 기업을 하나의 그룹으로 엮어 국내 유일의 기초연구부터 상업화까지 연속적 가치 사슬을 구축.
세계적인 연구성과 1998년 인간 난자 냉동 보존법(vitrification), 1999년 세계 최초 인간 난자은행 설립, 2009년 배아줄기세포 디디퍼런시에이션 등 재생의학 분야의 ‘세계 최초’ 기록 다수 보유.
광범위한 글로벌 네트워크 미국 HPMC, 호주 City Fertility 등 7개국 96개 거점에서 해외 병원 및 IVF 센터를 직접 소유·운영.
CDMO 리더십 미국 자회사 Matica BioLabs를 중심으로 아시아·미국·일본에 CGT CDMO 네트워크 구축,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생산 일괄 수행 역량 확보.
디지털 헬스케어·AI 투자 차헬스케어가 보건복지부 ARPA-H 프로젝트 참여, 멀티모달 AI 기반 의료 결정 지원 및 노쇠예방 돌봄 서비스 개발 등 선도.

 

진행 중인 핵심 R&D 프로젝트 (파이프라인)

차바이오텍 IR 자료 기준, 줄기세포, iPSC, NK/TIL 기반 면역세포 등을 활용한 재생의학 및 면역항암 파이프라인 보유.

파이프라인 (세포/기술) 적응증 및 단계 설명 R&D 키워드
RPE (자가 유래 ESC 망막 색소상피 세포) 노화성 황반변성(AMD), Stargardt병 – 임상 진행 중 자가 줄기세포를 이용한 시각세포 재생 치료제. 세포·유전자치료, 재생의학
NTESC (난자-체세포 융합 ESC) 파킨슨병 – 비임상 단계 유전적 일치성 및 낮은 면역반응 목표의 환자 맞춤형 재생치료. 세포·유전자치료, 재생의학
CHAMS (탯줄 MSC) 조기 난소 기능부전 – 2025년 임상 1상, 연골결손 – 비임상 간질증 및 관절 연골 치료를 위한 면역·재생 기능 강화 MSC. 세포·유전자치료, 재생의학
CHAGE (유전자 편집 MSC) 치주퇴축, 특발성 폐섬유화증 – 전임상 CRISPR 등으로 MSC를 유전자 편집하여 기능 향상. 세포·유전자치료, 재생의학
CHANK / CHATIL (자가/동종 NK세포, TIL) 교모세포종, 간세포암 등 고형암 – 재생의료법(IIT) 진행 환자 맞춤형 NK/TIL 세포를 활용한 면역세포 치료제 개발. 면역항암제
mRNA 면역항암제 플랫폼 면역증강 플랫폼 – 글로벌 시장 준비 차백신연구소 주도, mRNA 기술로 면역세포 활성화. 기존 항암제 한계 극복 목표. 면역항암제, 백신
멀티모달 AI 의료 플랫폼 정밀의료 및 노쇠 예방 – 국가과제 진행 차헬스케어 주도. 텍스트·영상·생체신호 통합 AI 모델 개발. 디지털 헬스케어 및 AI

 

최근 기업의 주요 관심사 (R&D 및 사업)

  1. AI 디지털 헬스케어: 멀티모달 연합학습 기반 의료 AI 모델 및 노쇠예방 AI 돌봄 서비스 프로젝트 참여를 통한 글로벌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 확장.
  2. mRNA 면역항암제 플랫폼: 차백신연구소의 플랫폼 특허 전략 수립 및 글로벌 IP 포트폴리오 구축을 통한 면역항암제 시장 공략 준비.
  3. Cell & Gene Therapy(CGT) CDMO 확대: Matica BioLabs를 중심으로 한·미·일 CGT CDMO 생산 설비 확충 및 한국 재생의료 시장 개화 대비.

 

인재상 및 처우

구분 내용
평균 연봉 약 4,754만 원 (취업정보 사이트 자소설닷컴 기준), 업계 평균 수준. 평균 월급 약 396만 원.
주요 복지 임직원 의료비 감면, 유연근무제, 생애주기별 지원 제도, 국내 호텔·리조트 휴양시설 이용 등.
인재 육성 제도 연구원 대상 박사과정 지원, 바이오 MBA 과정, 우수 직원 대상 글로벌 전문가 프로그램 (해외 연수 등) 운영.
채용 시기 및 절차 매년 가을(10월경) 신입·주니어 공개채용 경향. 계열사별 수시채용 상시 진행. 면접은 **‘원데이(1-Day) 면접 방식’**으로 진행하여 지원자 부담 최소화.

 

필요한 연구 분야 및 실험 스킬

분야 핵심 스킬
세포치료제 기술 hESC/iPSC 재프로그래밍, 신경계·망막 등 세포분화 및 대량 배양, NK/TIL 세포 활성화/확장.
유전자 편집 CRISPR/Cas9 등 편집도구 사용, 바이럴·비바이럴 벡터 제작, siRNA/mRNA 전달 시스템 설계.
면역학·종양학 NK/TIL 세포 기능 평가, 면역세포 발현 분석, 동물 모델 항암 효능 및 안전성 검증.
CDMO 공정 개발 세포치료제 GMP 생산·QC, 공정 밸리데이션, 규제 문서 작성.
mRNA 플랫폼 mRNA 합성·정제, 지질나노입자(LNP) 제형화, 면역증강제(adjuvant) 개발.
AI·데이터사이언스 멀티모달 의료데이터(영상, 텍스트, 바이오신호) 분석, 머신러닝/딥러닝 모델 구축.
임상·규제 연구 IIT(재생의료 임상연구) 설계, 글로벌 규제 이해, 약동·독성 평가, 임상 데이터 분석.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