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성장을 위한 핵심 키워드와 인재상을 지금 확인하세요. 매출 20%를 R&D에 투자하는 한미약품의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
기업 개요 및 비전
기업 소개 및 주요 정보
| 구분 | 내용 |
| 기업명 | 한미약품㈜ (Hanmi Pharmaceutical Co., Ltd.) |
| 설립일 | 1973년 1월 14일 (창립자: 임성기 회장) |
| 창업 정신 | ‘좋은 약을 만들어 국민 건강과 국가 경제에 기여한다.’ |
| 특징 | R&D 중심의 종합 제약기업. 매출의 20% 이상을 신약 연구·개발에 투자. |
| 본사 |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14 |
| 공식 홈페이지 | |
| 주요 자회사 | 한미사이언스(지주사), 북경한미약품, 한미정밀화학, JVM(조제자동화기기) |
| 대표 제품 | 아모잘탄(고혈압·고지혈증 복합제), 로수젯(고지혈증 치료제), 팔팔정(남성용 발기부전 치료제) |
| 주요 혁신 성과 | 국내 최초 GLP‑1 계열 당뇨병 치료제 ‘에페글레나타이드’(efpeglenatide) 개발 및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 |
기업의 키워드 및 핵심 가치 (경영 철학)
한미약품은 창업자 임성기 회장의 경영철학인 ‘인간존중(Respect for humanity)과 가치창조(Value creation)’를 근간으로 합니다.
| 키워드 | 핵심 내용 |
| Respect | 인류 건강 증진을 위해 존재하며, 환자와 직원을 존중 |
| Trust | 윤리경영을 통한 사회적 신뢰 구축 및 모범적인 한국 기업 추구 |
| Integrity | 연구개발과 사업 전반에서 정직과 투명성 추구 |
| Innovation | 새로운 도전과 혁신을 통해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 의지 |
| Global | 세계 시장에서 인정받는 글로벌 제약기업으로 도약 |
슬로건: “우리의 기술로 더 나은 약을 만들자 (Let’s use our technology to make better medicines)”
인재 및 복지 제도
평균 연봉 및 대우 (2024년 기준)
| 구분 | 금액 (추정치) | 참고 사항 |
| 전체 평균 연봉 | 약 7,000만~7,400만 원 | 제약업계 평균(약 5,500만 원)을 크게 상회 |
| 신입사원 초봉 | 4,800만~5,000만 원 수준 | |
| 직급별 | 대리·과장급: 6,500만~7,500만 원 | 차장·부장급: 9,000만 원 이상 |
| R&D 직군 | 업계 평균보다 높은 대우 및 성과급 비중 적용 |
주요 복지 제도
한미약품은 업계 상위 수준의 복지 제도를 운영합니다.
| 복지 분야 | 세부 내용 |
| 건강·의료 | 임직원/가족 종합건강검진, 단체보험, 사내 진료소 운영 |
| 교육 지원 | 사내 MBA 과정(H-MBA, Real-MBA), 직무·리더십 교육, 해외 연수 및 글로벌 파견 기회 |
| 자녀 지원 | 중·고·대학 교육비 전액 지원 및 장학금, 사내 어린이집 운영 |
| 생활 편의 | 사내 식당/카페테리아, 무료 셔틀버스/통근비 지원, 사내 체육시설(헬스장·수영장), 콘도/리조트 이용권 |
| 경조사 및 포상 | 설·추석·노동절·생일 복지포인트 지급, 장기근속자 포상금, 경조사 휴가 및 지원금 |
기업의 차별점 및 R&D 혁신 전략
기업의 차별점
| 분야 | 내용 |
| R&D 중심 경영 | 국내 제약사 중 가장 높은 수준인 매출 대비 R&D 투자 비중 20% 이상 유지 |
| 혁신 기술 | 독자적인 장기지속형 플랫폼 기술(LAPSCOVERY™), 이중항체 기술(펜타바디™)을 통한 글로벌 기술 수출 성공 |
| 비만·대사질환 선도 | H.O.P(Hanmi Obesity Pipeline) 프로젝트를 통해 차세대 비만 치료 후보군 선점 |
| 혁신 제형 연구 | LAPSCOVERY™ 기반 월 1회 투여 또는 패치형 제제 등 차세대 전달 시스템 연구 |
| 개방형 혁신 | 국내외 대학/연구소 및 바이오기업과의 협력, 글로벌 파트너십/기술수출 적극 추진 |
진행 중인 핵심 R&D 프로젝트 (H.O.P 프로젝트 중심)
| 프로젝트명 | 작용 기전 | 특징 및 개발 현황 |
| HM15275 | LA-GLP/GIP/GCG (삼중작용 비만 치료제) | 체중 감소와 대사 개선 동시 추구. 1상 결과 우수함 (2025년 하반기 2상 임상 진입 목표). |
| HM17321 | UCN2 기반 근육증가형 비만 치료제 | CRF2 수용체 선택성. 지방 감소와 근육 증가 동시 유도하는 세계 최초 후보 약물 (2025년 2분기 1상 임상 시작 예정). |
| Efpeglenatide | GLP-1 수용체 작용제 | 장기지속형 GLP-1 아날로그. 2026년 상업화 목표. |
| 항암 파이프라인 | 면역항암제, 표적항암제, 이중항체 | IL-2/CCR4, RAF, MKI 등 차세대 파이프라인 구축. AI를 활용한 내성 극복 연구. |
| 희귀질환 치료제 | 선천성 고인슐린증 등 혁신 신약 | 신약 개발을 사회적 공헌으로 보고 연구 추진. |
최근 기업의 주요 관심사 (2025년 동향)
- H.O.P 프로젝트 가속화: ADA(미국당뇨병학회)에서 비만 신약 6개 연구 결과 발표 등 글로벌 비만 치료 시장에 집중.
- 글로벌 비만 치료 시장 공략: 삼중작용제(HM15275)와 근육증가형 치료제(HM17321)를 통해 GLP-1 기반 치료제의 한계 극복 전략 추진.
- AI 기반 신약개발 도입: AI 기반 구조 모델링을 활용하여 연구개발 전반의 효율성 증대.
- 디지털 치료제 및 솔루션: 비만 관리용 디지털 플랫폼 개발을 통한 생활습관 교정 및 약물 순응도 향상 모색.
R&D 인재상 및 채용 정보
R&D 키워드 및 필요한 연구 분야
| 구분 | 키워드/필요 역량 |
| 연구 분야 | 비만·대사질환(H.O.P), 표적·면역항암, 희귀질환 신약 개발 |
| 플랫폼 기술 | LAPSCOVERY™ 등 장기지속형 플랫폼 기술(Fc융합·아실화), 이중항체 플랫폼 |
| 혁신 제형 | 경구·패치 제형, 디지털 치료제 및 라이프스타일 코칭 플랫폼 |
| 기술 트렌드 | AI 기반 구조 모델링/데이터 분석, 오픈 이노베이션·글로벌 협업 |
필요한 실험 스킬: 대사질환 기전 이해, 단백질·펩타이드 합성/구조 분석, 세포·분자생물학(클로닝, 발현), 면역세포 분석, PK/PD 및 비임상 독성 평가, 글로벌 협업 능력 (영어).

채용 공고 특징 및 절차
- 인재상: “엘리트 한미인 (Elite Hanmi People)” – 원칙을 중시하고 창의적이며, 열정적으로 목표를 추구하는 인재.
- 강조 역량: 전문성(석·박사 우대), 문제 해결 능력, 창의적 사고, 글로벌 협업 역량.
- 채용 방식: 신입 공채 (상·하반기)와 R&D 경력직 수시 채용 병행.
| 채용 절차 | 내용 |
| 서류 전형 | 전공, 경력, 연구 업적 등 기본 자격 심사 |
| 1차 면접 | 실무진 면접. 연구역량, 직무적합성, 문제 해결 능력 평가 |
| 2차 면접 | 임원/경영진 면접. 인성, 조직문화 적합성, 핵심 가치 부합 여부 검증 |
| 최종 합격 및 협의 | 연봉 및 근무조건 협의 후 최종 입사 결정 (필요 시 AI 성격검사, 영어 인터뷰 추가) |
주요 채용 시기: 상반기 (3~5월) 및 하반기 (9~11월) 대졸 신입사원 공개 채용이 일반적이며, R&D 분야는 수시 채용을 상시 진행.
결론
한미약품은 “인간존중과 가치창조”의 철학 아래 매출의 20% 이상을 R&D에 투자하는 혁신 제약사입니다. 독자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비만·대사질환, 암, 희귀질환 영역에서 차세대 신약을 개발하며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특히 삼중작용제 HM15275와 근육증가형 치료제 HM17321 등을 통해 차세대 비만 치료 시장을 선도하려는 움직임이 돋보입니다. 업계 상위권의 평균 연봉 (7,000만 원 이상)과 다양한 복지 제도는 R&D 분야에 도전하려는 인재들에게 매력적인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