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에스티 R&D 기업 분석 | 바이오 연구 직무 | 채용 전략

동아에스티 R&D 기업 분석

동아에스티 R&D 기업 분석: R&D 연구원 시각에서 본 핵심 정보

본 분석은 R&D 연구원 시각에서 동아에스티의 핵심 사업, 기업 문화, 처우, 그리고 R&D 현황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1. 기업 소개 및 핵심 가치

기업 개요

구분 내용
회사명 동아에스티 (Dong-A ST)
설립 2013년 동아제약에서 분할 (전문 의약품 중심)
사업 방향 자가 개발 신약 및 해외 시장 확대 집중
핵심 목표 글로벌 신약 개발을 통한 전 세계 제약기업으로의 도약
연구 인프라 2011년 완공한 세계 수준의 연구센터 보유
대표 자가 개발 신약 자이데나 (발기부전), 모티리톤 (소화불량), 슈가논/슈가메트 (당뇨), 스테리넥스 (피부 흉터 연고)
공식 홈페이지 https://www.donga-st.com동아에스티 R&D 기업 분석

핵심 가치 체계: D-STYLE

동아에스티는 D-STYLE을 통해 조직의 방향성을 명확히 하며, 다음 네 가지 가치를 강조합니다.

핵심 가치 주요 내용
과학 추구 (Innovation Pursuit) 일상 속 혁신, 새로운 관점 수용
변화 주도 (Lead Change) 최신 트렌드 반응, 과감한 변화로 미래 준비
상호 신뢰 (Mutual Trust) 협력·소통을 통한 시너지, 사회적 책임
함께 성장 (Grow Together) 동료/파트너와의 성장, 개인 성장과 사회적 책임 연결

2. 연봉 및 복지 제도 (워라밸 강조)

연봉 수준

구분 내용
평균 연봉 (2024년 기준) 7,800만 원 (동종 제약사와 비슷한 업계 상위권 수준으로 평가됨)
초봉/직무별 임금 미공개

주요 복지 제도

카테고리 주요 내용 (핵심 위주 요약)
워라밸 및 유연성 자율복장 근무제, 월 1회 패밀리데이 (조기퇴근), 유연근무/재택근무/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 유급 보건휴가
휴가 및 여행 연차/여름/겨울 휴가, 최소 22일 유급 연차휴가 (타사 평균 15일 대비 우수), 전국 44개 콘도/리조트 이용 지원
의료 및 건강 연 100만 원 한도 입원 의료비 및 중증질환 보험 지원, 정기 건강검진 (45세 이상 추가 검진비 30만 원), 매월 대사질환 검사, 근골격계 테이핑 치료
경조사 및 학자금 임직원 자녀 대학 학자금 지원 (약학/의과대 최대 12학기), 경조금 및 경조물품 지원 (내부 공제회)
생활 지원 저렴한 사내 카페, 명절 포인트 제공 복지몰, 사내대출 (연 2% 금리로 전세/생활 안정 자금)
자기개발 사내외 어학 강좌, 사이버 강좌, 사내외 교육 지원, 동호회 활동 후원
가족 친화 자녀 대상 여름방학 캠프, 가족 초청 행사 운영

3. R&D 현황 및 주요 관심사

기업의 R&D 차별점

  • 세계적 연구 인프라: 2011년 준공된 국내 최고 수준 연구센터.
  • 자사 개발 신약: 다수의 자가 신약 보유로 R&D 능력 입증.
  • 가치 중심 문화: D-STYLE 기반으로 워라밸 우수 기업 선정 (유연근무, PC-오프제 조기 도입).
  • R&D 투자 확대: 매출 대비 R&D 비중 꾸준히 증가. 비만·대사질환, MASH, 신약 플랫폼 (ADC) 분야에 집중 투자.

최근 기업의 주요 R&D 관심사

핵심 분야 주요 내용
대사질환 및 비만 DA-1726 (비만 치료제), DA-1241 (MASH 치료제) 글로벌 임상 개발 주력
장기 지속 제제 NeuroBo/ImmunoForge와 공동 연구 (ELP 플랫폼 활용). DA-1726의 월 1회 투여 가능 제형 개발 (반감기 최대 200배 연장 목표)
임상 개발 성과 DA-1726 단회 상승용량(SAD) 임상에서 안전성/내약성/선형 약동학 확인 후 다회 상승용량(MAD) 시험 가속화

진행 중인 핵심 R&D 프로젝트 (파이프라인)

프로젝트/코드 적응증/타깃 진행 단계 특징 및 작용 기전
DA-1726 비만 및 MASH 글로벌 Phase 1 임상 Oxyntomodulin (OXM) 유사체로 GLP-1/글루카곤 수용체 동시 자극. 식욕 감소 및 에너지 소비 증가 유도.
DA-1241 MASH (지방간염) Phase 2a 임상 GPR119 작용제. 내분비 호르몬 촉진으로 간 염증 및 지방 축적 감소, 혈당/체중 개선.
장기 지속형 DA-1726 비만 공동 연구 단계 월 1회 투여 목표. ELP 플랫폼으로 약물 반감기 최대 200배 연장 개발.
기타 파이프라인 신약 플랫폼 (ADC) 연구/비공개 단계 국내 ADC 전문 기업 인수를 통한 항체약물접합체 (ADC) 플랫폼 확보. 항암/면역질환 파이프라인 확대.

4. R&D 연구원 필수 역량 및 채용 정보

R&D 핵심 키워드

  • 카디오메타볼릭 질환: 비만, 제2형 당뇨병, MASH
  • 듀얼 아고니스트: GLP-1R/GCGR 이중 수용체 작용제 (OXM analogue)
  • GPR119 작용제: 내분비 기반 치료 기전
  • 장기 지속 제형: ELP 플랫폼 활용
  • R&D 협업: NeuroBo, ImmunoForge와의 공동 연구 및 오픈 이노베이션

필요한 연구 분야 및 실험 스킬

  • 대사질환 연구: 비만/MASH 병태생리 이해, 동물 모델 및 인체 대사 연구
  • 약리학 및 분자생물학: GPCR 관련 신호전달 연구 (GLP-1/GPR119 등), 세포/분자 약리 기전 분석
  • 제제 설계 및 생물학적 제형학: 장기 지속 제형 (ELP 플랫폼) 개발, 펩타이드/단백질 의약품 안정화 기술
  • 약동·약력학 (PK/PD) 평가: 임상/전임상 단계에서의 안전성/용량 반응 분석
  • 임상 연구 설계 및 데이터 분석: 임상시험 설계 및 통계 분석 경험
  • 협업 및 오픈 이노베이션: 글로벌 기업/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 경험 및 영어 소통 능력

채용 정보

채용 공고의 특징
  • 핵심 요구 사항: 신약 개발 경험, 대사질환 연구 역량, 영어 활용 능력, 글로벌 임상시험 경험, GMP/GLP 규정 준수
  • 인재상: D-STYLE 핵심 가치를 실천할 수 있는 인재
  • 직무 다양성: 신약기획, 약리, 제제, 임상시험 관리, 데이터 사이언스 등 전문 포지션 존재
채용 절차
  1. 지원서 접수 및 서류 심사: 온라인 지원 후 학력, 경력, 전문성 평가.
  2. 인성/역량 검증: AI 역량검사 또는 과제 전형.
  3. 실무 면접: 직무 전문성, 연구 경험, 문제 해결 능력 평가.
  4. 임원 면접: 조직 적합도 및 핵심 가치 부합 여부 확인.
  5. 최종 합격 및 처우 협의
주요 채용 시기 대학 졸업자/경력자 대상 상·하반기 공개 채용과 더불어, 연구 직무는 프로젝트 진행 상황에 따른 수시 채용이 활발함. (동아에스티 및 자회사 메타비아 등 R&D 채용 페이지 수시 확인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