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R&D 기업 분석] 유한양행 |바이오 연구 직무|자소서 면접 합격

유한양행 자소서 면접 합격을 위한 기업분석

유한양행 R&D 측면 기업 분석 (최신 정보)

 

기업 개요 및 경영 철학

항목 내용
기업명 (영문) 유한양행 (Yuhan Corporation)
설립 연도 1926년
본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동작구
대표자 (2025년 기준) 조욱제 대표이사
주요 사업 의약품·생명공학 연구·개발 및 생산, 원료의약품·화학제품 제조
공식 홈페이지 유한양행 로고 유일한 정신https://www.yuhan.co.kr

 

기업 소개 및 핵심 가치

  • 창업 정신: 1926년 창업한 한국의 제약·화학 기업으로, 사우 정성(宋) 선생의 ‘신뢰와 책임’을 바탕으로 성장한 국내 제약업계의 오랜 기업 중 하나입니다.
  • 경영 원칙: 투명한 경영과 광범위한 연구 개발(R&D)을 핵심 원칙으로 삼고 있습니다.
  • 비전: 300여 명의 연구진과 함께 환자 중심 글로벌 제약기업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R&D 투자: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혁신적 의약품 개발을 지향하며, 연 매출의 10%가량을 R&D에 투자하는 등 윤리 경영을 중시하는 기업 문화가 특징입니다.

유한양행 본사

기업의 R&D 역량 및 전략

R&D 확장 분야 및 전략

유한양행은 외부 혁신 플랫폼과 R&D 자산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전략적 파트너십을 모색하는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을 핵심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R&D 확장 분야 세부 내용
종양학(Oncology) EGFR TKI, 이중·다중 표적 항체, 타깃 단백질 분해 기술 등
대사·섬유화 질환 (Metabolism & Fibrosis) GLP-1/FGF21 융합 단백질, GDF-15 기반 식욕억제제, 비만·비알코올성 지방간(MASH) 치료제 등
면역·항염증 분야 (Immunology & Anti-inflammation) IgE 표적 Fc 융합 단백질(YH35324), 면역·염증 질환 치료제 등
플랫폼 기술 차세대 항체 기술(이중항체, ADC), GPCR 표적 신약, 타깃 단백질 분해 기술, 바이오 의약품의 경구 전달 및 지속형 제형
CMC/세포주 개발 세포주 개발, 공정 개발 및 단백질·항체 의약품 제조 역량

 

기업의 차별점

구분 내용
글로벌 신약 개발 국내 최초 자체 개발 폐암 치료제인 라제르티닙 (제품명: 렉라자/라즐쿠제)이 2024년 8월 미국 FDA 및 유럽 EMA 승인을 받으며 한국 제약사 최초로 글로벌 승인을 달성했습니다. (J&J와의 병용 요법)
장기적 R&D 및 협력 연 매출의 약 10%를 R&D에 투자하며, ProGen, GPCR Therapeutics, Inventage Lab, ABL바이오 등 외부 바이오텍과의 공동 연구 및 지분 투자를 통한 파이프라인 확장.
글로벌 협력 및 기술 이전 존슨앤드존슨(J&J)과 라제르티닙-아미반타맙 병용요법 상업화, GI Innovation으로부터 항알레르기 바이오의약품 레시거셉트(YH35324) 도입 등 글로벌 제약사와의 기술 수출 및 공동 연구 지속.
R&D 인프라 강화 경기 군포시에 약 800억 원을 투자하여 **최첨단 바이오 연구·CMC 센터(R&D Cluster)**를 건설 중 (2023년 2분기 착공, 2025년 2분기 가동 목표). 세포주 개발, 바이오의약품 공정 개발, 단백질·항체 신약 개발 역량 강화 목적.

 

진행 중인 핵심 R&D 프로젝트 및 관심사

분야/프로젝트 세부 내용 주요 관심사
폐암 치료제 라제르티닙(Leclaza/Lazertinib): 3세대 EGFR 억제제. J&J의 아미반타맙(Rybrevant)와 병용 시 타그리소 대비 사망 위험 25% 감소 효과로 FDA·EMA 승인. 후속 임상 및 글로벌 확대 지속. 라제르티닙 글로벌 확장, 타깃 단백질 분해 및 30여 건의 연구자 주도 임상을 통한 실제 사용 근거 확보.
이중항체 YH32364 (EGFR/4-1BB 표적): EGFR 및 KRAS 변이 모델에서 강력한 항종양 효과 및 면역세포 침투 증가 확인. 2025년 상반기 1/2상 임상시험 시작 예정. YH32367 (HER2 양성 유방암 표적): 낮은 독성으로 차세대 항암제로 개발 중. 이중항체 및 차세대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 확장.
알레르기 치료제 YH35324 (Lesigercept): IgE를 표적하는 Fc 융합 단백질. 자유 IgE 감소 및 IgE 수용체 결합 항체 중화의 이중 기전. 만성 두드러기 환자 증상 개선 확인 후 국내 2상 임상 진행 중. 알레르기 치료제 레시거셉트의 개발 가속화.
비만 치료제 IVL3021 (GLP-1 계열 장기형 주사제, Inventage Lab 공동 개발) 및 YH34160 (GDF-15 기반 식욕억제 후보) 임상 진입 준비 중. GLP-1/FGF21 이중 표적 후보 YH25724 개발 재검토. ProGen, GPCR Therapeutics와 협력 통한 신규 파이프라인 확장. 비만 치료제 파이프라인 확대를 통한 시장 우위 확보.
인프라 군포 R&D 클러스터 건립 (2025년 가동 목표): 세포주 개발, 공정 개발, 단백질·항체 의약품 연구 인프라 강화. R&D 클러스터 건립을 통한 바이오의약품 개발 역량 집중.

 

인재상 및 채용 정보

필요한 연구 분야 및 실험 스킬

분야 핵심 스킬
기초 과학 분자생물학·세포생물학: 표적 단백질 발현, 세포주 개발, CRISPR/Cas9 유전자 편집. 약리학·생화학: 신약 후보의 기전 규명, 활성 평가, PK/PD 분석, 독성 평가. 면역학: 이중항체 및 면역 기반 치료제 개발을 위한 면역세포 기능 분석, 사이토카인 측정.
공학 및 개발 단백질·항체 공학: 단백질 설계, Fc 융합 단백질 엔지니어링, 이중항체·ADC 설계. 대사질환 연구: GLP-1/GDF-15/FGF21 등 약물의 동물 모델 및 임상 분석. 공정 개발 및 CMC: 세포주 개발, 배양·정제 공정 최적화, GMP 생산 경험.
데이터 및 협업 데이터 분석 및 임상 설계: 오믹스 데이터 해석, 생물정보학, 통계분석, 임상시험 설계 및 관리. 협업 및 영어: 해외 파트너와의 협력 연구 및 영어 논문·보고서 작성 능력.

 

기업의 채용 특징

  • 전문성 중심: 화학, 생물학, 면역학, 약학 등 관련 석·박사 학위 보유자 또는 동등한 연구 경험자 우대. 특정 파이프라인(이중항체, 비만 치료제 등) 경험 선호.
  • 오픈 이노베이션 지향: 외부 바이오텍과의 협업이 많아 유연한 사고, 협업 능력, 외부 파트너와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중시.
  • 글로벌 역량: 국제 공동 연구 및 기술 수출을 위해 영어 소통 및 글로벌 규제 이해 필수.
  • 데이터·디지털 역량: 차세대 기술 및 공정 최적화에 AI/빅데이터 활용 추세에 따라 프로그래밍(Python/R) 및 데이터 분석 경험 우대.

 

평균 연봉 및 복지

항목 내용
평균 연봉 (2024년 말 기준) 약 9,700만 원으로,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3번째로 높은 수준.
평균 근속연수 12년 7개월로, 동종 업계에서 가장 긴 편.
주요 복지 자녀 출산 장려금 지급: 출산 시 자녀 1인당 1,000만 원 지급 (2023년부터). 교육비 지원: 중·고교 및 대학교(의과대학·치과대학 포함) 등록금 전액 지원. 기타 복지: 정신건강 상담, 의료비 지원, 사내식당·기숙사·통근버스 등 운영.

 

채용 시기 및 절차 (일반적 프로세스)

  • 주요 채용 시기: 연구개발 인력은 수시 채용이 많으며, 신약 개발 프로젝트 진행에 따라 특정 분야 전문가를 연중 모집. 정기 공채는 상·하반기(3~4월, 9~10월)에 실시하는 경향.
  • 채용 절차 (통상적): 온라인 지원서 접수 -> 서류 전형 (전공/경력/학업 평가) -> 인성·적성 검사 (일부 직무) -> 실무 면접 (전공 지식, 연구 경험, 영어 면접/PT 포함 가능) -> 임원 면접 (조직 적합성 평가) -> 신체검사 및 최종 합격.

 

결론

유한양행은 투명한 경영과 혁신 연구를 기반으로 한 100년 역사의 제약기업입니다. 국내 최초의 FDA/EMA 동시 승인 폐암 신약 라제르티닙을 통해 글로벌 역량을 입증했으며, 현재는 비만 치료제, 이중항체, 알레르기 치료제 등 차세대 파이프라인을 적극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높은 R&D 투자오픈 이노베이션 전략, 그리고 군포 R&D 클러스터 건설을 통한 인프라 강화는 유한양행의 지속적인 글로벌 성장을 가능하게 할 핵심 동력으로 평가됩니다. 또한, 높은 평균 연봉과 장기 근속을 뒷받침하는 탄탄한 복지 제도는 인재 확보 및 유지에 긍정적인 요소입니다.

[바이오 R&D 기업 분석] 한미약품 |바이오 연구 직무|자소서 면접 합격

한미약품 기업분석

미래 성장을 위한 핵심 키워드와 인재상을 지금 확인하세요. 매출 20%를 R&D에 투자하는 한미약품의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


 

기업 개요 및 비전

기업 소개 및 주요 정보

구분 내용
기업명 한미약품㈜ (Hanmi Pharmaceutical Co., Ltd.)
설립일 1973년 1월 14일 (창립자: 임성기 회장)
창업 정신 ‘좋은 약을 만들어 국민 건강과 국가 경제에 기여한다.’
특징 R&D 중심의 종합 제약기업. 매출의 20% 이상을 신약 연구·개발에 투자.
본사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14
공식 홈페이지 한미약품 로고https://www.hanmipharm.com
주요 자회사 한미사이언스(지주사), 북경한미약품, 한미정밀화학, JVM(조제자동화기기)
대표 제품 아모잘탄(고혈압·고지혈증 복합제), 로수젯(고지혈증 치료제), 팔팔정(남성용 발기부전 치료제)
주요 혁신 성과 국내 최초 GLP‑1 계열 당뇨병 치료제 ‘에페글레나타이드’(efpeglenatide) 개발 및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

한미약품 광교 연구소 전경

기업의 키워드 및 핵심 가치 (경영 철학)

한미약품은 창업자 임성기 회장의 경영철학인 ‘인간존중(Respect for humanity)과 가치창조(Value creation)’를 근간으로 합니다.

키워드 핵심 내용
Respect 인류 건강 증진을 위해 존재하며, 환자와 직원을 존중
Trust 윤리경영을 통한 사회적 신뢰 구축 및 모범적인 한국 기업 추구
Integrity 연구개발과 사업 전반에서 정직과 투명성 추구
Innovation 새로운 도전과 혁신을 통해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 의지
Global 세계 시장에서 인정받는 글로벌 제약기업으로 도약

슬로건: “우리의 기술로 더 나은 약을 만들자 (Let’s use our technology to make better medicines)”


 

인재 및 복지 제도

평균 연봉 및 대우 (2024년 기준)

구분 금액 (추정치) 참고 사항
전체 평균 연봉 7,000만~7,400만 원 제약업계 평균(약 5,500만 원)을 크게 상회
신입사원 초봉 4,800만~5,000만 원 수준
직급별 대리·과장급: 6,500만~7,500만 원 차장·부장급: 9,000만 원 이상
R&D 직군 업계 평균보다 높은 대우 및 성과급 비중 적용

 

주요 복지 제도

한미약품은 업계 상위 수준의 복지 제도를 운영합니다.

복지 분야 세부 내용
건강·의료 임직원/가족 종합건강검진, 단체보험, 사내 진료소 운영
교육 지원 사내 MBA 과정(H-MBA, Real-MBA), 직무·리더십 교육, 해외 연수 및 글로벌 파견 기회
자녀 지원 중·고·대학 교육비 전액 지원 및 장학금, 사내 어린이집 운영
생활 편의 사내 식당/카페테리아, 무료 셔틀버스/통근비 지원, 사내 체육시설(헬스장·수영장), 콘도/리조트 이용권
경조사 및 포상 설·추석·노동절·생일 복지포인트 지급, 장기근속자 포상금, 경조사 휴가 및 지원금

 

기업의 차별점 및 R&D 혁신 전략

기업의 차별점

분야 내용
R&D 중심 경영 국내 제약사 중 가장 높은 수준인 매출 대비 R&D 투자 비중 20% 이상 유지
혁신 기술 독자적인 장기지속형 플랫폼 기술(LAPSCOVERY™), 이중항체 기술(펜타바디™)을 통한 글로벌 기술 수출 성공
비만·대사질환 선도 H.O.P(Hanmi Obesity Pipeline) 프로젝트를 통해 차세대 비만 치료 후보군 선점
혁신 제형 연구 LAPSCOVERY™ 기반 월 1회 투여 또는 패치형 제제 등 차세대 전달 시스템 연구
개방형 혁신 국내외 대학/연구소 및 바이오기업과의 협력, 글로벌 파트너십/기술수출 적극 추진

 

진행 중인 핵심 R&D 프로젝트 (H.O.P 프로젝트 중심)

프로젝트명 작용 기전 특징 및 개발 현황
HM15275 LA-GLP/GIP/GCG (삼중작용 비만 치료제) 체중 감소와 대사 개선 동시 추구. 1상 결과 우수함 (2025년 하반기 2상 임상 진입 목표).
HM17321 UCN2 기반 근육증가형 비만 치료제 CRF2 수용체 선택성. 지방 감소와 근육 증가 동시 유도하는 세계 최초 후보 약물 (2025년 2분기 1상 임상 시작 예정).
Efpeglenatide GLP-1 수용체 작용제 장기지속형 GLP-1 아날로그. 2026년 상업화 목표.
항암 파이프라인 면역항암제, 표적항암제, 이중항체 IL-2/CCR4, RAF, MKI 등 차세대 파이프라인 구축. AI를 활용한 내성 극복 연구.
희귀질환 치료제 선천성 고인슐린증 등 혁신 신약 신약 개발을 사회적 공헌으로 보고 연구 추진.

 

최근 기업의 주요 관심사 (2025년 동향)

  • H.O.P 프로젝트 가속화: ADA(미국당뇨병학회)에서 비만 신약 6개 연구 결과 발표 등 글로벌 비만 치료 시장에 집중.
  • 글로벌 비만 치료 시장 공략: 삼중작용제(HM15275)와 근육증가형 치료제(HM17321)를 통해 GLP-1 기반 치료제의 한계 극복 전략 추진.
  • AI 기반 신약개발 도입: AI 기반 구조 모델링을 활용하여 연구개발 전반의 효율성 증대.
  • 디지털 치료제 및 솔루션: 비만 관리용 디지털 플랫폼 개발을 통한 생활습관 교정 및 약물 순응도 향상 모색.

 

R&D 인재상 및 채용 정보

 

R&D 키워드 및 필요한 연구 분야

구분 키워드/필요 역량
연구 분야 비만·대사질환(H.O.P), 표적·면역항암, 희귀질환 신약 개발
플랫폼 기술 LAPSCOVERY™ 등 장기지속형 플랫폼 기술(Fc융합·아실화), 이중항체 플랫폼
혁신 제형 경구·패치 제형, 디지털 치료제 및 라이프스타일 코칭 플랫폼
기술 트렌드 AI 기반 구조 모델링/데이터 분석, 오픈 이노베이션·글로벌 협업

필요한 실험 스킬: 대사질환 기전 이해, 단백질·펩타이드 합성/구조 분석, 세포·분자생물학(클로닝, 발현), 면역세포 분석, PK/PD 및 비임상 독성 평가, 글로벌 협업 능력 (영어).

한미약품 생산 공장

채용 공고 특징 및 절차

  • 인재상: “엘리트 한미인 (Elite Hanmi People)” – 원칙을 중시하고 창의적이며, 열정적으로 목표를 추구하는 인재.
  • 강조 역량: 전문성(석·박사 우대), 문제 해결 능력, 창의적 사고, 글로벌 협업 역량.
  • 채용 방식: 신입 공채 (상·하반기)와 R&D 경력직 수시 채용 병행.
채용 절차 내용
서류 전형 전공, 경력, 연구 업적 등 기본 자격 심사
1차 면접 실무진 면접. 연구역량, 직무적합성, 문제 해결 능력 평가
2차 면접 임원/경영진 면접. 인성, 조직문화 적합성, 핵심 가치 부합 여부 검증
최종 합격 및 협의 연봉 및 근무조건 협의 후 최종 입사 결정 (필요 시 AI 성격검사, 영어 인터뷰 추가)

주요 채용 시기: 상반기 (3~5월) 및 하반기 (9~11월) 대졸 신입사원 공개 채용이 일반적이며, R&D 분야는 수시 채용을 상시 진행.


 

결론

한미약품은 “인간존중과 가치창조”의 철학 아래 매출의 20% 이상을 R&D에 투자하는 혁신 제약사입니다. 독자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비만·대사질환, 암, 희귀질환 영역에서 차세대 신약을 개발하며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특히 삼중작용제 HM15275와 근육증가형 치료제 HM17321 등을 통해 차세대 비만 치료 시장을 선도하려는 움직임이 돋보입니다. 업계 상위권의 평균 연봉 (7,000만 원 이상)과 다양한 복지 제도는 R&D 분야에 도전하려는 인재들에게 매력적인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