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R&D 기업 분석] 삼성바이오에피스 |바이오 연구 직무 |합격 전략

삼성바이오에피스 대표사진

삼성바이오에피스 전경2

기업 개요

구분 내용
기업명 삼성바이오에피스 주식회사 (Samsung Bioepis)
설립일 2012년 2월 28일
본사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교육로 76
사업 분야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제조 전문
미션 고품질·합리적 가격의 바이오 의약품을 전 세계 환자에게 제공
주요 성과 (2024년 기준) 총 11개 바이오시밀러 제품 승인, 9개 제품 40개국 이상 출시, 50만 명 이상 환자에게 치료 옵션 제공
2025년 목표 ‘제2의 도약(Second Leap)’ 선언, 혁신 역량 강화를 통한 지속 성장
공식 홈페이지 https://www.samsungbioepis.com삼성바이오에피스 로고
해외 법인 미국, 네덜란드, 영국, 폴란드, 스위스, 브라질 등 10개국 이상

 

핵심 가치 및 비전: “Passion for Health”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환자의 삶을 향상시키는 혁신적 바이오의약품 개발을 추구하며, 2025년 ‘제2의 도약’을 위한 핵심 가치를 제시합니다.

핵심 가치 (EPIS Way) 설명
Accessible 고품질 치료제 개발 및 글로벌 공급을 통한 환자 접근성 확대
Quality Assured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을 위한 강력한 품질 관리 및 혁신 솔루션 탐구
Active 적극적인 사고와 혁신 집중을 통한 모든 한계 극복
Honest 투명성과 정직성을 바탕으로 환자 신뢰 확보 및 최선의 해결책 제공

주요 비전 및 전략

  • 오픈이노베이션 및 글로벌 협업 확대
  • Samsung Life Science Fund 활용
  • 차세대 기술 플랫폼 확보 및 새로운 치료영역으로 포트폴리오 확장 (유전자치료제, ADC 등)

삼성바이오에피스 전경

기업의 차별점 및 혁신 역량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바이오시밀러 산업의 선도기업으로서 다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글로벌 리더십 및 파이프라인 확장

  • 성장세: 13년간 12개 제품 개발, 9개 출시, 40개국 이상 공급하는 빠른 성장세.
  • 파이프라인 다각화: 면역학, 종양학 외 안과, 신장학, 혈액학, 내분비학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
  • 차세대 기술 투자: 유전자치료제(Gene Therapy), 항체약물접합체(ADC) 등 신기술 개발 착수.

 

혁신적인 R&D 및 품질 관리 플랫폼

  • 강화된 스케일업 플랫폼: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결합해 실험 단계에서 상업 생산까지 품질 변동 최소화.
  • 정밀 분석법: 80가지 이상 분석법을 적용하여 참고 의약품과 엄격한 동등성 평가.
  • 품질 설계 시스템: Quality by Design (QbD) 및 Failure Mode Effects Analysis (FMEA) 기반 위험 관리 시스템 운영.
  • 톨게이트(Tollgate) 시스템: 개발 단계별 엄격한 품질 목표 통과(Gate-Pass)를 의무화하여 프로젝트 품질 관리.

 

환자 중심의 제형 혁신

  • 제형 안정성 개선: SB16(데노수맙), SB17(우스테키누맙) 등 상온 1~2개월 보관 안정성을 개선하여 환자와 의료진 편의성 향상.
  • 사용자 친화적 디바이스: 단백질 안정화 및 사용 편의성을 고려한 주사 디바이스 (바늘 두께 감소, 자동 니들 리트랙션 등) 개발.
  • 투여 방식 혁신: 정맥주사(IV) 대비 투여 시간을 단축하고 통증을 줄이는 피하주사(SC) 제형 연구.

 

주요 관심사 및 핵심 R&D 프로젝트 (2024~2025)

구분 내용
경영 목표 ‘제2의 도약(Second Leap)’글로벌 사업 영역 확장 (오픈이노베이션, 삼성라이프사이언스펀드 활용 등).
포트폴리오 새로운 치료 영역(안과, 신장학 등) 확대 및 SB27(펨브롤리주맙), SB26(우리나스타틴-Fc 융합단백질) 등 신규 파이프라인 임상 개발.
제품 혁신 SB16/SB17 상온 보관 안정성 개선 및 사용자 친화적 주사 디바이스 개발.
R&D 혁신 AI/데이터 기반 공정 설계, QbD/FMEA 활용 위험 평가 등 R&D 플랫폼 고도화.
사회적 가치 바이오시밀러 인식 제고 (글로벌 학회 발표, Market Report 발행), 환자 접근성 확대 (WHO PQP 검토).
핵심 R&D SB16 (데노수맙 바이오시밀러) / SB17 (우스테키누맙 바이오시밀러) / SB27 (펨브롤리주맙) / SB26 (우리나스타틴) / SB12 적응증 확대 (aHUS 연구).

 

인재상 및 복지

 

구분 상세 내용
평균 연봉/보상 성과 기반 보상 시스템 (MBO 및 다면 평가 기반), 성과급 및 기본급 차등 지급.
인력 현황 평균 연령 34세 (비교적 젊은 조직), 2024년 79명 신규 채용.
주요 복지 (Work-Life Balance) 가족 친화적 환경: 사내 어린이집, 임신/출산 보호, 육아휴직, 부모 단축/유연근무제.
건강 지원: 사내 피트니스, 트레이닝 프로그램, 클리닉/약국 운영.
생활 지원: 복지포인트, 통근버스, 사내 식당/카페, 자녀 학자금 지원, 리조트/제휴사 할인.
자기계발: 사내 영어 튜터링, 독서 포인트, 동호회 활동비, 사내 도서관.
기업 문화 E.P.I.S Way (‘Efficiency, Specialty, Pride, Interaction’ 강조), 성과 기반 평가, 공정한 블라인드 채용, 사내 직무 전환 제도.

 

채용 정보 및 요구 역량

R&D 채용의 특징

구분 내용
직무 다양성 세포 배양/정제, 분석법 개발, 임상 PM, 규제 과학, 제형 개발, SCM, 마케팅, 약물감시, Medical Affairs 등 광범위한 직무 모집.
인재상 직무별 역량, 데이터 기반 사고, 글로벌 협업 역량 강조.
학력/경력 박사 학위자는 경력 무관, 학사/석사 학위자는 해당 분야 6~8년 이상 경력 요구 (직무별 상이).
필수 어학 OPIc IM, TOEIC Speaking Level 6 이상 등 영어 회화 능력 필수.
공정 채용 블라인드 채용 (연령, 성별, 학벌 배제), 공정한 능력 중심 선발.
성장 기회 사내 직무 전환(Job Posting) 제도를 통한 역량 개발 지원.

 

핵심 요구 연구 분야 및 실험 스킬

분야 주요 요구 역량
공정 개발 세포 배양(Fed-Batch/perfusion, 스케일업) 및 정제 공정 개발, cGMP 생산/검증 경험.
분석 및 품질 HPLC, LC-MS, ELISA, 세포기반 Assay 등 물리화학/생물학적 분석법 개발 및 규제 문서 작성.
임상/규제 글로벌 임상(2·3상) 수행 및 CRO 관리, 글로벌 규제기관 인허가 및 제품 라이프사이클 관리.
제제 개발 제형 개발 전략, CMO 관리, CMC 문서화, 사용자 친화적 디바이스 개발.
지원/경영 SCM (원가, ROI, 물류), 의료 마케팅, 약물감시(PV), Medical Affairs(석/박사, 학술 교류).

 

채용 절차 및 시기

구분 내용
채용 절차 지원서 제출 → 서류 심사 → 직무 적성/AI 평가 (공채 한정) → 실무 및 임원 면접 (영어 인터뷰 포함 가능) → 건강검진 → 최종 합격.
정기 공채 삼성그룹 상·하반기 일정에 맞춰 연 2회 실시 (상반기 3~4월경, 하반기 9~10월경).
수시 채용 R&D 등 전문 인력은 Rolling basis로 연중 상시 채용.

[바이오 R&D 기업 분석]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 연구 직무|합격 전략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사진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공정엔지니어링 지원을 위한 모든 것! 글로벌 1위 CDMO 기업의 비전, 핵심 경쟁력, ADC/mRNA 등 첨단 R&D 분야를 확인하세요. 최고 수준의 연봉 및 복지, R&D 채용 정보까지 담았습니다.


 

기업 개요 및 비전

구분 내용
기업명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회사
설립 2011년
본사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슬로건 Driven. For Life. (인류의 건강과 생명을 위한 기술 혁신)
홈페이지 삼성바이오로직스_로고https://www.samsungbiologics.com

 

핵심 키워드 세부 내용
핵심 가치 품질 우선, 고객 중심, 협업과 존중, 지속적 혁신
비전 글로벌 선도 CDMO로서, 최첨단 기술과 품질을 통해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
조직 문화 ExellenS 정신 바탕, 끊임없는 혁신, 윤리 경영, 협업 강조, 직원 전문성 및 글로벌 감각 육성

 

기업의 차별점 및 경쟁력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의약품 제조의 엔드투엔드(End-to-End) 서비스를 제공하며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핵심 경쟁력

 

  • 세계 최대 단일 CDMO 생산기지:
    • 4개 플랜트 총 60만 리터 이상 규모로 세계 1위 생산 능력 보유 (2024년 기준).
  • 엔드투엔드 서비스:
    • 세포주 개발부터 상업 생산, 품질 분석, 인허가 대응까지 원스톱 제공.
  • 신규 모달리티 기술 선도:
    • 항체약물접합체(ADC), mRNA, 차세대 세포·유전자 치료제(CGT) 등 차세대 기술 확보 및 사업 확장.
  • 스마트 팩토리·디지털 트윈 구축:
    • AI 및 데이터 기반 공정 최적화를 통해 생산 효율 극대화.
  • 지속가능 경영(ESG):
    • 탄소 중립, 재생에너지 전환, 친환경 포장재 도입 등 ESG 혁신 추진.

삼성바이오로직스_공정개발_현장

연구 개발 (R&D) 및 기술 분야

 진행 중인 핵심 R&D 프로젝트

  • mRNA 플랫폼 개발: 백신 및 치료제 생산 기술 내재화.
  • ADC 공정 표준화 연구: 항체약물접합체 생산 공정 최적화 및 글로벌 규제 대응.
  • 디지털 트윈 프로젝트: 생산 데이터를 실시간 시뮬레이션하여 공정 효율 극대화.
  • 친환경 바이오 공정 연구: 공정 중 발생 폐기물 최소화 및 물 재활용 시스템 연구.

삼성바이오로직스_공정개발_프로세스

 R&D 주요 관심 분야 (키워드)

R&D 키워드 필요한 연구 분야 및 실험 스킬
대규모 세포배양·정제 기술 CHO 세포 배양, Fed-Batch·Perfusion 공정 이해
신규 모달리티 (mRNA, ADC, CGT) 단백질 정제 및 품질 분석 (크로마토그래피, HPLC, ELISA 등), 분석법 개발 (바이오어세이, PCR)
디지털 제조·AI 기반 공정 관리 데이터 분석 및 AI 활용 (Python, JMP, R 등), 스마트 팩토리·자동화 기술
품질 및 규제 과학 (GMP, ICH, FDA) GMP 및 규제 대응 (FDA, EMA, ICH 기준 이해 및 문서화 역량)
협업 능력 글로벌 제약사와의 프로젝트 경험 및 영어 커뮤니케이션 능력

 

최근 기업의 주요 관심사

 

  • 제2 바이오캠퍼스 구축: 생산 역량 및 인력 확대.
  • 신규 모달리티 투자: mRNA, ADC 등 첨단 바이오의약품 생산 기술 확보.
  • 디지털화 추진: AI, 빅데이터 기반 공정 관리 및 품질 예측 시스템 도입.
  • ESG 경영 강화: 탄소 감축, 지역사회 상생, 윤리경영 체계 강화.

삼성바이오로직스_공정개발_현장3

채용 정보 및 복지

 평균 연봉 및 주요 복지

  • 평균 연봉: 2024년 기준 직원 평균 급여 약 1억 원 이상으로, 국내 업계 최고 수준.
  • 주요 복지:
    • 복지시설: BIO PLAZA 내 대형 구내식당 (920석), 카페, 헬스장, 필라테스 스튜디오, 물리치료실 등.
    • 건강관리: 부속의원, 치과, 약국, 심리상담센터, 정기 건강검진, 의료비 지원.
    • 교육: 사내 Bio University를 통한 글로벌 인재 교육, 직무·리더십 과정 운영.
    • 가족: 주택자금 대출, 육아휴직, 자녀 학자금 지원, 출산 축하금 등.
    • 제도: 유연근무제 (시차출퇴근제, 재택근무제, 반반차제), 복지포인트 제도.

삼성바이오로직스_공정개발_현장2

 R&D 채용 특징 및 절차

구분 내용
주요 직무 세포주 개발, 공정개발, 품질관리(QA/QC), 분석법 개발, 생산기술 등
지원 자격 생명과학, 화학, 약학, 바이오공학 관련 석·박사 우대
특징 글로벌 고객사 협업을 위한 영어 소통 능력 중시, 연구 및 품질 경력자 수시채용
채용 형태 삼성그룹 공채(신입)와 별도 수시채용(경력) 병행
주요 채용 시기 신입 공채: 매년 상·하반기 (3~4월 / 9~10월) / 수시 채용: 연중 수시 모집

 

채용 절차 세부 내용
서류 전형 지원서 접수 및 학력·경력·직무 역량 평가
직무적성검사(GSAT) 연구직의 경우 전공시험 또는 PT면접 포함
실무면접 전문지식, 연구 수행능력, 문제 해결력 평가
임원면접 조직 적합성 및 핵심 가치 부합 여부 검증
건강검진 입사 전 기본 신체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