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약품 R&D 기업 분석 | 바이오 연구 직무 | 채용 전략

제일약품 R&D 기업 분석

제일약품 R&D 기업 분석

기업 소개 및 개요

제일약품 기업 개요
설립 연도 1959년 (중견 제약사)
재출범 2017년 제일파마홀딩스에서 분할 (전문의약품 사업 전담 계열사)
주요 사업 전문의약품, 일반의약품, 원료의약품 제조·판매, 바이오·헬스케어 사업 확장
직원 수 (2025년 기준) 약 1,003명
매출액 (2025년 기준) 7,222억 원 수준
R&D 역량 중앙연구소, 제제기술연구소 운영. 자회사 온코닉테라퓨틱스를 통해 글로벌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
주요 성과 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자스타프라잔(자큐보)’ 국내·해외 상업화 추진으로 외자 의존도 탈피 목표.
공식 홈페이지 https://www.jeilpharm.co.kr제일약품 기업분석 로고

제일약품 기업의 키워드 (핵심 가치 및 비전)

제일약품 R&D 기업 분석 | 바이오 연구 직무 | 채용 전략제일약품 R&D 기업 분석

슬로건: WE BUILD A BETTER WORLD (인간의 행복과 건강한 삶 추구)
구분 내용 주요 목표
비전 (Vision) 혁신적 헬스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으로의 성장 미래 선도 성장동력 확보, 창조적/진취적 기업문화 구축, 전문적/도전적 구성원 역량 개발
미션 (Mission) 우수한 헬스케어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실현한다.

핵심가치: Build-up Trust (6가지 구성요소)

  • 업: 업의 본질은 믿음을 제공하는 것
  • 사회: 정직과 법·윤리준수
  • 업무·조직: 목표 관리와 철저한 실행
  • 역량: 전문성 확보
  • 태도: 정확함과 투명성·경청
  • 관계: 파트너십 기반의 상호 존중

조직문화

“Better Way, Jeil Way”: 변화에 민첩하게 적응하는 역동적인 조직문화와 일과 관계를 통해 행복한 조직문화 추구.

초봉, 평균 연봉 및 주요 복지

구분 내용 특징
평균 연봉 5,396만 원 (평균 월급 약 450만 원 수준) 중견 제약사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준 (자소설닷컴 공공데이터 분석 기반)
초봉 (신입) 4,000만 원 후반대 (추정) 공개 자료가 많지 않으나, 채용사이트 및 외부 자료 기반 추정
근무 시간 09:00~18:00 주 5일 근무 유연근무제 운영

주요 보상 및 복지 제도 (채용 사이트 기준)

복지 영역 주요 내용
재정 및 휴가 명절 상품권 지급, 하계/연말 유급휴가, 장기근속 포상
생활 지원 중식 지원, 자녀학자금, 통근버스 운영, 임직원 쇼핑몰 운영, 콘도 지원
건강 및 경조사 건강검진, 경조휴가/경조금 및 물품 지원
근무 환경 유연근무제

채용 과정 평점 (지원자 후기 종합)

절차: 서류 → 인적성 검사 → 1차 면접 → 2차 면접
특징: 1차 면접의 비중이 높다는 의견이 있음.

기업의 차별점 및 최근 관심사

구분 주요 내용
국내 최초 P-CAB 신약 상업화 자회사 온코닉테라퓨틱스 개발 ‘자스타프라잔(자큐보)’를 통한 자체 신약 상업화 성공. 위궤양 등 적응증 추가 국내 임상 3상 진행 중.
신약 파이프라인 다변화 제2형 당뇨병 치료제 (JP-2266), 항암제 (JPI-547), 심근경색 치료제 (JPI-289) 등 중·후기 임상 단계 글로벌 신약 파이프라인 추진.
책임경영 및 재무 안정성 전문경영인과 오너 3세 공동대표체제를 통한 책임경영 강화. 최근 영업이익 흑자 전환으로 재무 안정성 향상.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자스타프라잔 및 당뇨병 치료제 해외 임상/라이선스 전략을 통해 글로벌 헬스케어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 추진.

최근 기업의 주요 관심사

  • 수익성 방어: 성장보다 수익성 방어 전략 우선으로 영업이익 흑자 전환 달성.
  • 신약 파이프라인 확대: 중앙연구소/제제기술연구소 역량 강화를 통한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도약 추진.
  • 책임경영 체제: 전문경영인과 오너 3세 공동대표를 통한 경영 책임성 및 지속성 강화.
  • 핵심 프로젝트: 자스타프라잔 글로벌 진출 및 자큐보 판매 확대, 항암신약 네수파립 임상 2상 및 적응증 확대.

진행 중인 핵심 R&D 파이프라인

제일약품 R&D 조직: 중앙연구소 (신약연구, 원료합성연구), 제제기술연구소 운영
파이프라인 코드 적응증 및 특징 개발 단계 근거 자료
JP-1366 (자스타프라잔/자큐보) 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위궤양/NSAIDs 유발 궤양 예방 적응증 추가를 위한 국내 임상 3상 진행. 임상 3상 완료 후 국내 품목허가 심사 진행 중 회사 R&D 현황 페이지
JP-2266 제2형 당뇨병 치료제. 유럽 임상 1상 완료 후 국내 임상 2상 진행 중 회사 R&D 현황 페이지
JPI-547 (네수파립) PARP/Tankyrase 이중 저해 항암제. 난소암 대상 임상 2상, 췌장암 대상 임상 1b상 진행 중. 임상 2상 / 임상 1b상 회사 R&D 현황 페이지
JPI-289 심근경색 치료를 목표로 하는 저분자 신약. 심근경색 환자 대상 국내 임상 2상 시험 준비 중. 임상 2상 준비 회사 R&D 현황 페이지
JP-2266 외 타 프로젝트 염증성 질환 치료제, 추가 항암제 등 탐색 연구. JP-1366 후속 파이프라인 (JLP-2302, JLP-2501) 및 고혈압+당뇨 복합제 (ATB-101) 등 자료제출 의약품 개발. 탐색 단계/비임상 파이프라인 페이지

기업의 R&D 키워드 및 주요 연구 분야

R&D 키워드 주요 내용 및 파이프라인
P-CAB 및 위식도역류질환 자스타프라잔 (JP-1366), JLP-2302 등 P-CAB 계열 의약품
당뇨·대사질환 JP-2266 (제2형 당뇨), ATB-101 (고혈압+2형 당뇨 복합제), JP-2266 후속 파이프라인
항암제 PARP/Tankyrase 이중 저해제 JPI-547 (네수파립), 탐색 단계 항암제 (solid tumor, 고형암 치료)
심혈관질환 JPI-289 (심근경색), JLP-2501 (항혈전)
염증성 질환 염증성 장질환 등 탐색 단계 치료제
합성의약품·제제기술 원료합성연구, 제제기술연구소 (고효율 합성, 제형연구, 개량신약 개발)

필요한 연구 분야 및 실험 스킬 (R&D 직군)

  • 약리학 및 임상시험 설계: 위식도역류질환, 당뇨병, 암 등 다양한 적응증에 대한 약리기전 이해, 임상 프로토콜 설계 능력.
  • 의약합성 및 약물화학: P-CAB 및 PARP/Tankyrase 저해제 등 신약 후보 합성 연구, 구조 최적화.
  • 제제·제형 연구: P-CAB 복용 편의성 및 안정성 향상을 위한 제제기술 개발, 개량신약 (복합제) 개발.
  • 생물학적 시험: 세포주 및 동물모델 활용 효능·독성 평가, 염증 및 종양 모델 연구.
  • PK/PD 및 분석: HPLC, LC-MS 등 분석법 개발, 약물동태·동력학 분석.
  • 데이터 분석/AI 활용: 데이터 기반 임상 설계 및 약물 발견 플랫폼 활용 능력 (최근 AI 기반 신약개발 협업 확대로 빅데이터 분석 스킬 우대).
  • 규제 문서화 및 품질관리: IND 제출, 임상시험 보고서, 허가 신청 자료 작성 역량, GMP 기반 품질관리 경험.

기업의 R&D 채용 특징 및 절차

구분 주요 내용
직무 다양성 중앙연구소 (신약연구, 원료합성), 제제기술연구소 (제형 연구, 분석연구), 임상 개발 등으로 세분화. MR, PM, 분석연구직 등 다양한 직무 채용 진행 (2024년 6월).
지원자 평균 스펙 평균 GPA 3.6, TOEIC 844.1점 (최근 지원자 115명 기준). 화학/생명과학/약학 외 경영/식품영양 등 다양한 전공 지원.
인재상 전문적·도전적 역량을 갖춘 인재 선호. 면접에서 ‘자기만의 무기’를 보여주는 적극적 태도 강조.

채용 절차 (지원 후기 및 회사 자료 종합)

단계 평가 내용 및 특징
1. 서류 전형 학력, 전공, 경력 등 검토.
2. 인적성 검사 직무적합성과 기본 역량을 평가하는 온라인 검사.
3. 1차 면접 실무진 면접 (직무 및 역량 평가). 다대다 형식, 지원 직무 이해와 문제 해결 경험 중점 질문.
4. 2차 면접 경영진(임원) 면접 (조직 적합성 및 가치관 확인). 1차 면접보다 중요도가 높다는 후기.
5. 최종 합격 및 처우 협의 건강검진 등을 거쳐 입사 확정.

주요 채용 시기

  • 정기 채용: 상반기 (3~5월)와 하반기 (9~11월)에 집중.
  • R&D 직군: 프로젝트 수요에 따라 수시 채용이 진행될 수 있으므로 연중 공고 확인 필요.

출처 및 참고 자료

  • 제일약품 공식 홈페이지: Vision, Mission, 핵심가치, 조직문화, 연구개발 현황 및 파이프라인.
  • 제일약품 채용사이트: 복리후생 정보 (중식지원, 유급휴가, 건강검진, 자녀학자금, 유연근무제 등).
  • 자소설닷컴: 기업정보 (평균 연봉, 매출액, 사원수, 설립연도, 지원자 평균 스펙), 핵심 기업분석 (수익성 방어, 파이프라인 확대, 책임경영), 채용 절차 및 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