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 이노엔 R&D 기업분석 |바이오 연구 직무|채용 전략

HK 이노엔 R&D 기업분석

HK 이노엔 R&D 기업분석

HK 이노엔 R&D 기업분석

기업 소개

기업명 HK 이노엔 (옛 CJ헬스케어)
설립 2014년 (CJ제일제당 제약사업부문 분할)
사업 분야 전문의약품(ETC), 헬스케어(숙취해소제, 음료, 건강식품), 뷰티 제품 개발‧생산‧판매
대표 제품 위식도 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K-CAB) (국내 30호 신약, 2019년 출시)
2023년 매출 약 8,289억 원
임직원 수 약 1,700명 수준
주요 거점 본사: 서울 중구 / R&D 기능: 2025년 판교 제2테크노밸리 (HK이노엔 스퀘어 집결)
공식 홈페이지 HK 이노엔 R&D 기업분석

https://www.inno-n.com

기업의 키워드 (핵심 가치 및 비전)

키워드 내용
Heal the world for a better life 인류 건강 증진이라는 사명을 바탕으로 미래 바이오헬스 산업 선도를 목표로 함.
Global Top Tier Biohealth Company 세계 최고 수준의 바이오헬스 기업 비전, 최신 기술과 연구 혁신 강조.
창의적 도전과 신뢰 케이캡과 같은 혁신 신약 개발 경험 기반, 글로벌 시장에서 신뢰받는 파트너 지향.

초봉, 평균 연봉 및 주요 복지 (2024년 기준)

연봉 및 성과급 정보

구분 내용 비고
신입 초봉 (대졸) 약 4,000만원 수준 구직 플랫폼 기준 3,978만~4,000만원
전체 평균 연봉 5,851만~7,205만원 수준 추정 취업 포털 기준
평균 성과급 약 500만원 직원에 따라 81만원~3,000만원 차등 지급

직급별 평균 연봉 (2024년 기준)

직급 평균 연봉 (만원)
사원 3,200
주임 3,800
대리 5,146
과장 5,950
차장 6,950
부장 9,000

주요 복지 제도

  • 복지포인트 지급
  • 주거자금 대출 지원
  • 종합건강검진 및 의료 지원
  • 출산‧육아 지원금과 육아휴직
  • 취미활동 지원비
  • 유연근무제
  • 사내 어린이집

HK 이노엔 R&D 기업분석HK 이노엔 R&D 기업분석

기업의 차별점

차별점 주요 내용
케이캡 성공과 글로벌 진출
  • P-CAB계열 항궤양제로 국내 출시 3년 만에 연 매출 1,000억 원 돌파.
  • 2025년 상반기까지 누적 처방액 8,101억 원 기록.
  • 중국, 중남미 등 18개국 판매 중, 2028년까지 100개국 확대 목표.
통합 R&D 허브: HK이노엔 스퀘어
  • 2025년 2월 판교 제2테크노밸리에 개소 (지상 10층·지하 6층, 연면적 약 40,785 ㎡).
  • 연구시설과 사무공간 통합, 약 450명 연구 인력 집결.
  • 카페, 식당, 피트니스센터, 사내 어린이집, 오픈 라이브러리 등 편의시설 제공.
  •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만성/면역질환 신약 파이프라인 발굴 가속화.
오픈 이노베이션과 파트너십
  • 국내외 바이오기업과 협력하여 파이프라인 확대.
  • 주요 협력 사례:
    • 중국 사이윈드: GLP-1 계열 치료제 에크노글루타이드(XW003) 도입.
    • 노바셀테크놀로지: FPR2 작용제 기반 펩타이드 공동 개발.
    • 동아에스티: EGFR 변이 폐암 표적 단백질 분해제 공동 개발.
  • 기존 제품 현금흐름을 차세대 파이프라인에 재투자하는 전략.

최근 기업의 주요 관심사

  • ‘포스트 케이캡’ 파이프라인: 자가면역·대사질환·암·피부질환 분야로 R&D 확장. (JAK-1 억제제, GLP-1 수용체 작용제, EGFR 변이 선택적 분해제 등 차세대 기술 주목)
  • 해외 시장 공략: 케이캡의 글로벌 100개국 진출 전략 실행. 미국 임상 3상 긍정적 결과 확보 후 미 FDA NDA 신청 준비 중.
  • ESG·지속가능 경영: 안전·환경·사회책임 강조,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행을 통한 투명한 소통 강화.

진행 중인 핵심 R&D 프로젝트 (2025 기준)

유형 프로젝트/코드 적응증 & 단계 특징
신약(NCE) IN-115314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JAK-1 억제제 (사람용 연고제·반려동물용 경구제); 임상 1상 성공 (EASI 감소율 최대 77.8%), 2상 및 미국 임상 준비 중. 경쟁약 대비 전신 노출이 20분의 1로 부작용 우려를 크게 줄임.
IN-B00009 (에크노글루타이드/XW003) 주 1회 GLP-1 수용체 작용제 (비만 및 당뇨 치료제); 2025년 국내 임상 3상 승인 (2028년 출시 목표). 중국 임상에서 리라글루티드 대비 체중 감소 효과 입증.
IN-B00008 골다공증 치료용 생물약; 전임상 단계.
IN-207039 (EGFR 변이 선택적 분해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동아에스티와 공동 개발); 2025년 AACR에서 오시머티닙 내성 마우스 모델 종양 억제 효과 확인. EGFR 표적 단백질 분해 기술 활용, 내성 문제 극복 접근법.
20ND02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녹내장 신약 후보.
22ND01/02/06, 23ND03/04, 24ND02/03 자가면역질환, 암, 당뇨, 고지혈증, 비만·염증 등; 초기 연구~비임상 단계.
IMD (복합제·개량신약) Exone-A, Exone-R 등 고혈압·고지혈증·당뇨 등 대사질환 복합제; 상용화 또는 임상 단계.
Vaccines & 바이오 IN-B00001 백신 플랫폼 프로젝트; 국가필수예방접종 대응 백신 개발.

기업의 R&D 키워드

  • P-CAB: 케이캡 및 개량형 ODT 제형, 지속형 제제 개발.
  • JAK-1 억제제: 아토피 피부염 등 자가면역질환용 국소/경구 제제.
  • GLP-1 수용체 작용제: 주1회 투여하는 비만·당뇨 치료제.
  • FPR2 작용제 펩타이드: 염증성 질환용 차세대 펩타이드 플랫폼.
  • EGFR 분해제: 비소세포폐암 치료를 위한 표적 단백질 분해기술.
  • 차세대 표적: NASH/대사질환, 암, 면역·염증 질환, 비만, 안질환 등.

필요한 연구 분야 및 실험 스킬

데이터 분석 및 AI 활용빅데이터 기반 약물 재창출, 생물정보학, AI 기반 약효 예측, 디지털 헬스 기술 이해.

연구 분야 필요 실험/기술 스킬
합성‧분석 화학 신약 후보 합성, API 제조, HPLC/LC-MS 및 NMR 분석 등.
제제·제형 연구 고형·주사제의 처방 설계, 안정성 평가, 약물 방출 조절 기술.
약리·독성·임상 연구 세포/동물 모델 효능·독성 평가, GLP/GMP 기반 문서화, 임상시험 설계.
단백질·항체·백신 플랫폼 항체 공학, 세포·유전자치료제, 단백질 정제, ELISA·FACS 등 면역학 실험.

우대 경험

  • 논문·특허 출원
  • 글로벌 협력 프로젝트 경험
  • 영어 소통 능력
  • 품질관리(QC) 및 규제 대응 경험

기업의 R&D 채용 공고의 특징

  • 직무 범위: 신약 연구(화합물·바이오의약품), 제형·분석·품질관리, 임상개발, 비임상·허가, 데이터 분석, 건강기능식품·음료 연구 등 다양한 연구직 수시 채용.
  • 요구 역량: 약학, 화학, 생물학, 생명공학, 의공학, 통계/데이터 분야 학사 이상 학위, 실험 스킬, GMP/GLP 문서화 경험, 영어 의사소통, 협업 및 문제해결 능력.
  • 채용 공정성: AI 역량검사, 직무 관련 과제/포트폴리오 평가 도입. 법정 취업 보호 대상자 우대, 지역 연고자/교대근무 가능자 우대 공고 있음.
  • 근무지: 판교 HK이노엔 스퀘어(연구개발), 충북 음성 공장(제조·품질), 서울 을지로 본사(임상·관리 등)로 분리.

채용 절차 및 주요 채용 시기

채용 절차

  1. 서류 전형: 온라인 입사지원서, 경력·성적·포트폴리오 등 심사.
  2. AI 역량검사·온라인 테스트: 인지능력·직무역량 평가.
  3. 1차 면접: 실무 면접 + PT/과제 발표 (연구 역량, 문제 해결, 협업능력 평가).
  4. 2차 면접: 임원·경영진 면접 (조직 적합성, 핵심 가치 공감 여부 확인).
  5. 최종 합격·신체검사: 처우 협의 후 신체검사를 거쳐 최종 입사.

주요 채용 시기

구분 시기 특징
상반기·하반기 공채 3~5월, 9~11월 콜마그룹 계열사와 함께 대졸 신입사원 공개채용 실시.
수시 채용 연중 상시 연구개발, 품질, 생산 등 직무는 사업 필요에 따라 상시 모집 (경력/전문 연구자).
인턴 및 산학협력 여름방학 및 학·석사 연계 연구인턴 운영, 우수 인력 조기 확보 및 성과에 따른 정규직 전환 기회 제공.

출처

본 정보는 HK inno.N 공식 홈페이지, R&D 소개 페이지, 파이프라인(2025년 9월 기준) 및 관련 뉴스 기사(데일리팜, 히트뉴스 등), 취업 포털 자료(블라인드, 원티드, 승스의 기록 블로그 등)를 참고하여 2025년 기준으로 분석한 내용입니다.